이탈리아 정부가 삼성과 애플을 상대로 스마트폰 업데이트 문제의 조사에 착수했다.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이탈리아 정부가 애플 ‘배터리게이트 논란’의 조사에 착수하면서, 삼성전자도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번 문제와 관련해 아직 삼성전자의 사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포괄적인 관점에서 봤을 땐 삼성전자도 자유롭지 않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탈리아 반독점 규제당국(AGCM)은 이날 애플과 삼성전자의 ‘부정한 상업적 관행’ 의혹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 AGCM은 이들 업체가 특정부품의 결함 또는 OS업데이트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새 제품을 구매토록 유도했다고 추정 중이다.

최근 발생한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 사건’이 조사의 발단이 된 셈이다. 앞서 애플은 iOS의 업데이트를 실시하면서 고객 몰래 구형 아이폰 성능을 낮춘 사실이 적발됐고, 현재 글로벌 각지에서 애플을 상대로 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도 이탈리아 당국의 조사대상에 포함됐다는 점에서 의문이 발생한다. 삼성전자가 업데이트로 스마트폰 성능을 제한했다는 구체적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 매체는 이탈리아 당국이 세수확보를 노렸다는 시선도 보낸다. 조사결과에 따라 벌금이 수백만 유로까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애플 전문 IT 매체 페이턴틀리애플(PatentlyApple)은 ‘이탈리아의 경제상황이 2016년 위기 이후 좋지 않다’며 “부유한 기술회사들의 지갑은 쉬운 목표”라고 보도했다.

다만 일각에선 AGCM이 그간 전자업계에서 의혹으로 제기되던 ‘계획적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 관점에서 접근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계획적 진부화는 제조사들이 고객들의 제품 교환 주기를 빠르게 하기 위한 의도적 행위를 뜻한다. 여기엔 부품 수명 또는 내구성, 성능 등을 낮추는 것부터 용량부족을 느끼게 하기 위해 ‘외장메모리’ 슬롯을 지원하지 않는 것도 해당될 수 있다.

또 ‘OS를 업데이트를 해주지 않는 행위’도 ‘성능저하를 의도한 행위’로 여겨지기도 한다. 실제 다수의 고객들이 ‘보증기간만 종료되면 스마트폰이 고장난다’고 입을 모은다. 제조사들이 일부러 내구성을 낮춰 교환하게끔 만든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물론 이는 삼성·애플만이 아니라 스마트폰 업계 전체가 받는 의혹이다. 또 구체적 사례는 애플만 확인됐다. 그러나 삼성전자가 이탈리아에서 시장지배적 지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사대상에 포함된 게 어색하진 않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이탈리아 스마트폰 시장서 점유율은 30% 내외로 1위”라며 “2위 업체와 두 배 가량 격차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