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5일 기준 중앙선관위 등록현황을 보면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들이 전국적으로 많았다.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기간은 오는 5월 24일까지고, 군수 및 군의회의원 예비후보 등록은 4월 1일부터 시작한다. <데이터=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6ㆍ13 지방선거와 관련,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들의 숫자가 타정당과 비교해 두드러지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예비후보등록 현황을 살펴본 결과, 민주당으로 지방선거 출마를 원하는 예비후보자의 숫자는 총 1,767명으로 선거구분 없이 전체 예비후보의 48%를 차지했다.

선거구분별로 광역시도지사 선거 28명, 기초단체장 선거 344명, 광역의원 선거 546명, 기초의원 선거 849명이 민주당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4월 1일부터 예비후보 등록이 가능한 군수 및 군의회의원은 제외한 숫자다.

◇ 울산·경남 포함 전국적으로 민주당 예비후보가 다수

지역별로도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들이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과 호남지역은 물론이고 부산과 인천, 대전, 충남, 충북 등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심지어 보수당 강세지역인 경남과 울산에서도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 등록자가 많았다.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지방선거 예비후보에 등록한 사람은 전체 1,086명으로 집계됐다. 비율은 약 29.7%다. 선거구분별로 광역시도지사 17명, 기초단체장 175명, 광역의원 299명, 기초의원 595명이 한국당 예비후보 등록했다.

20대 총선 당시 한 선거구에서 개표원들이 개표를 진행하고 있다. <뉴시스>

다만 지역별로 살펴보면 민주당과 달리 한국당은 수도권과 영남지역에 예비후보들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구에 기초단체장 15명, 광역의원 24명, 기초의원 28명이 등록했고, 경북에서는 기초단체장 30명, 광역의원 55명, 기초의원 136명 등 한국당 소속 예비후보가 타 정당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 호남지역(광주·전남·전북)에서 한국당 소속으로 지방선거에 나가고자하는 예비후보는 현재까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바른미래당 소속 예비후보는 293명(12.5%)으로 나타났고, 민주평화당 소속 89명(2.4%), 정의당 소속 67명(1.8%)의 예비후보들이 선관위 등록을 마쳤다. 거대양당과 비교해 규모가 작고 역사가 짧은 것이 숫자로 확인되는 대목이다. 특히 평화당의 경우 대부분의 예비후보들이 호남지역에 집중돼 있다.

◇ 한국당은 텃밭 대구·경북에 편중

정당별 예비후보 등록 규모만으로 봤을 때 민주당의 선전이 점쳐진다. 예비후보 등록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지역의 후보자들이 당선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정당지지율의 영향력도 큰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광역자치단체장 선거는 인물론이 많이 반영되지만, 기초의원 선거로 내려갈수록 정당이 당락을 좌우하는 경향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발표된 리얼미터 주중집계를 보면, 민주당의 지지율은 51.5%로 과반을 넘었다. 이에 반해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18.2%로 20%대를 밑돌았다. 이어 바른미래당 7.4%, 정의당 4.8%, 민주평화당 2.8%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후보 등록 비율과 일치하진 않았지만, 대략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물론 예비후보 등록만으로 선거결과를 예단할 순 없다. 오히려 당내 갈등이 격화돼 마이너스로 작용한 사례도 있다. 20대 총선 당시 지지율은 물론이고 예비후보 등록자 수도 월등했던 새누리당이 막상 결과에서는 민주당에게 밀렸던 게 대표적이다.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돌발변수도 무시할 수 없다.

한국당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제 막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됐을 뿐이고, 군수와 군의원이 포함되면 상황은 조금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예비후보의 양적규모 보다는 질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된 리얼미터의 여론조사는 tbs/cbs 의뢰로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됐다. 유무선 ARS 및 무선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해 전국 성인남녀 1502명이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 포인트, 전체응답률은 5.2%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참조 가능하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