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와 넷플릭스의 제휴가 언급되자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가 부당 대우를 이유로 반발하고 나섰다. 국내 방송채널사용사업자에 대한 IPTV의 수익 배분율은 14% 수준에 그치는 반면 넷플릭스에는 퍼주기식 제휴를 할 수 있다는 우려다.

[시사위크=최수진 기자]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공룡’이라는 수식어까지 붙일 정도다. 이에 국내에서도 넷플릭스 ‘모시기’에 나섰다. IPTV 업계에서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넷플릭스 콘텐츠를 공급하게 된다면 가입자를 보다 쉽게 끌어올 수 있어서다.

다만, 문제가 존재한다. 국내 콘텐츠 사업자들이 역차별을 주장하고 있다. IPTV가 넷플릭스는 우대하고 국내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홀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넷플릭스, 업계 ‘공룡’으로 불리는 콘텐츠 공급자

넷플릭스. 업계에서는 ‘공룡’이라고 불리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이다. 글로벌 OTT 시장은 넷플릭스가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콤스코어는 지난해 8월 당시 미국 내 OTT 이용 가구(2017년 4월 기준)가 5,100만여 가구에 달한다고 전했다. 서비스별 점유율은 넷플릭스가 약 74%로 1위를 차지했다. 미국에서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10명 중 7명이 넷플릭스를 본다는 의미다.

넷플릭스의 영향력은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현재 약 190여개국에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으며, 회원은 1억1,700만명에 달한다. 넷플릭스 가입자들은 넷플릭스의 콘텐츠에 하루 평균 1억4,000만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 ‘IPTV-넷플릭스’ 제휴, 왜 문제인가

이 같은 영향력을 지닌 넷플릭스가 국내에서도 판을 키울 전망이다. ‘IPTV’ 플랫폼에 도입될 가능성이 생겼다. 이동통신 및 IPTV 사업자 LG유플러스가 최근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추진하고 있어서다. LG유플러스와 넷플릭스의 제휴가 체결되면 IPTV를 통해서도 넷플릭스의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가 IPTV 사업자이자 이동통신 사업도 진행하고 있는 만큼 모바일에서 콘텐츠를 공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양사의 제휴를 통해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몸집을 키우기 충분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같은 분위기에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가 ‘차별 대우’를 문제 삼아 성명까지 내놓고 있다. 협회는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넷플릭스와 IPTV의 수익배분율에 대해 지적하는 상황이다. 넷플릭스는 IPTV 사업자에 9대 1의 수익 배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익 배분에 대한 넷플릭스의 글로벌 정책으로, 자사가 9를 가져가겠다는 요구다.

가입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IPTV 사업자는 넷플릭스의 정책에 따를 가능성이 크다. 넷플릭스의 콘텐츠를 공급하면 가입자를 보다 쉽게 유치할 수 있어서다.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 업계가 양사 제휴에 반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연도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에 따르면 2016년 기준 PP 사업자에 대한 IPTV 수익 배분율은 매출의 14.7%에 그친다. 수익의 대부분을 플랫폼이 가져간다는 의미다.

IPTV의 PP 수익 배분율은 케이블TV 및 위성TV 등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케이블TV의 경우 매출의 24.5%를 지급하고 있으며, 위성TV는 매출의 26.9%를 PP 사업자에 지급하고 있다. 이마저도 정부가 직접 개입해 방송 수신료 매출액의 25%를 PP의 몫으로 지급하라고 규제한 이후부터 가능했다.

이에 국내 사업자에 대한 역차별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PP 업계는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부당 대우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사업자인 ‘넷플릭스’에게만 관대한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하고 있다. 결국, IPTV가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위해 넷플릭스가 요구하는 수익 배분(9대 1)을 수락한다면 국내 PP 생태계의 존립까지 흔들리게 된다는 주장이다.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우리(PP 사업자)가 포함된 산업은 유독 플랫폼이 ‘갑’인 상황”이라며 “PP 사업자들이 플랫폼 산업을 위해 많은 투자를 했지만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콘텐츠가 제값에 거래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로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