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인도 순방 첫 일정으로 악샤르담 힌두 사원을 방문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8일 인도 순방길에 오른 문재인 대통령이 9일부터 본격적인 외교행보에 들어간다. 스와라지 외교장관 접견을 시작으로 나이두 부통령 겸 상원의원 접견, 한-인도 비즈니스 포럼 등의 빡빡한 일정이다. 또한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에 참석, 이재용 부회장과도 조우할 예정이다. 이번 순방을 통해 인도를 4강에 준하는 경제파트너로 격상하겠다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포부다.

남아시아로 분류되는 인도는 남한의 약 33배인 328만㎢의 국토를 자랑하는 초대형 국가다. 또한 세계인구의 6분의 1이 넘는 13억2,0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인구의 65%가 35세 미만으로 매우 젊은 편이다. 출산 추세를 감안하면 7년 후에는 중국의 인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도 헌법에 인정된 공식언어는 22종이며 그 가운데 영어가 공문서와 민간에 폭넓게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경제규모는 2017년 기준 GDP 2조6110억 달러로 미국 대비 13%, 중국 대비 22%, 일본 대비 54% 수준이다. 구매력 있는 중산층(일소득 2~10$)이 6억 명으로 실질구매력 평가기준에서 볼 때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다. 교육열이 높고 특히 IT 분야 우수한 인재가 많아 미국 및 중국과 함께 세계경제를 이끌어 갈 3대 강국으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인도 진출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은 일대일로 구상의 한 축인 해상 실크로드 구축을 위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를 통해 1,000억불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제조업 생산거점 마련과 함께 ODA 등을 통해 인도 개발에 나선 상황이다. 한국의 대 인도 무역흑자 규모는 일본 보다 크고 중국 보다는 적은 편이다. 일본 보다 흑자가 많은 이유는 인프라 투자가 비교적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도의 국가체제는 의원내각제 형태를 취하는 연방국가 형태다. 연방은 29개의 주와 7개 연방 직할지로 구성된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양원 및 주 의회 의원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선출 되며 국가원수로서 상징적 역할을 수행한다. 실권은 하원 다수의석을 차지한 정당 대표인 총리가 각료회의 등을 통해 행사하는 구조다. 경제는 자유시장경제를 취한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영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리 기업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분석이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 정치·경제 체제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 적다는 의미다. 무엇보다 영어를 사용함으로써 소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벤처-스타트업 기업들의 비용절감도 가능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인도순방에 동행한 장병규 4차산업위원회 위원장은 9일 브리핑을 통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투자를 한 사람들이 투자수익을 본국으로 가져갈 수 있느냐는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도는 영어를 쓰는 나라다. 이게 굉장히 크다”며 “공문서 등이 영어로 돼 있고 젊은이들이 영어를 잘 한다. 협력들이 전방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인도가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많은 난제를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방에 따라 기후, 풍토, 인종구성, 언어, 종교 등이 복잡하게 분포해 있고 극심한 빈부격차와 그로 인한 현격한 교육수준 차이, 카스트 제도의 잔존 등이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