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10일간 열릴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알리는 서울 명동의 홍보물 앞을 한 행인이 걸어가고 있다. / 뉴시스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10일간 열릴 '코리아세일페스타'를 알리는 서울 명동의 홍보물 앞을 한 행인이 걸어가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범찬희 기자] 하루 앞으로 다가온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코리아세일페스타를 향한 우려의 시선이 짙다. 올해부터 효율성 재고차원에서 민간 주도로 이뤄지지만, 참여 기업과 정부 예산 등 행사 규모가 크게 줄어들면서 성공 가능성이 낮게 점쳐지고 있다. 예상대로 이번 행사마저 ‘찻잔 속 태풍’에 그친다면 코리아세일페스타은 또 다시 존폐 논란에 휩싸일 전망이다.

◇ 기업·예산·일정 줄줄이 축소, 뒷걸음 치는 ‘코리아 블프’

코리아세일페스타(이하 코세페)가 ‘유명무실한 행사’라는 멍에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현실은 부정적인 쪽이 더 우세한 편이다. 행사가 정착하지 못하게 된 핵심 이유 중 하나인 참여 기업 수가 절반가량 줄면서 벌써부터 흥행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2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윤한홍(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코세페에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은 231곳(13일 기준). 유통과 제조사 등에서 총 446개 기업이 참여한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절반 가까이 줄어든 규모다.

특히 행사를 주도해야 할 유통과 서비스업체의 참여가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체감폭은 더 떨어진다. 지난해 백화점과 온라인쇼핑몰 등 192개사가 참여했던 유통업체 수는 정확히 반토막(96개)이 났다. 숙박과 외식업체 등 서비스 직종에서는 무려 63%가 줄어든 51개가 참가한다.

행사 기간도 열흘일정에 그친다. 이는 한 달 가까이 열렸던(34일) 지난해 보다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 주최 측인 산업통상자원부는 행사 기간을 축소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업체 측 의견을 반영한 결과라는 입장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은 따갑기만 하다. 소비자들의 외면이 계속되면서 행사가 축소 됐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룬다.

◇ 가격 결정권 없는 유통업체, 구색 맞추기 급급

전체적인 규모가 줄면서 자연스레 관련 예산도 축소됐다. 이번 코페세에 책정된 예산은 총 34억5,000만원으로, 지난해(51억원) 대비 67%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코페세 기간 추석 연휴가 껴 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연휴가 끝난 직후에 열려 행사 목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더욱 보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올해엔 민간 주도로 방향을 바꿔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정부 의도와는 달리 기업들의 반응은 여전히 뜨뜻미지근하다. 백화점 업계에서는 가을 정기세일 시즌에 맞춰 여행 숙박 증정권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이나 홈 퍼니싱 행사 등을 마련하고 행사 구색을 맞추는 데 급급한 모습이다. ‘코페세’가 ‘코리아 블프’로 정착하는 데 열쇠가 될 할인율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백화점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의 백화점은 직매입 구조를 띄고 있어 70~80%에 달하는 파격적인 자체 할인이 실시할 수 있지만, 국내의 경우는 제조사에서 정한 할인율을 따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미국에서와 같이 유통업체들이 가격 결정권을 가지지 못하는 구조가 계속되는 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는 먼 나라 얘기로 밖에 남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