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251곳이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251곳이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지난해 기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된 기업 중 251곳이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키스밸류(kis-value)와 한국 신용정보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유가증권시장 한계기업의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곳이 (2.46%) 늘어난 251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상장사(1,878개) 중 13.4%를 차지한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금융비용)이 1배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를 밑도는 것은 한 해 영업이익으로 기업 대출이자도 충당하지 못한다는 뜻한다.

한계기업의 수는 최근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계기업수는 2013년 243개사에서 2014년 252개사로 늘었다가 2015년 229개사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2016년과 2017년 각각 244개사, 251개사를 기록하며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했다.

조정식 의원은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상장된 기업 중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의 존재는 그 자체로 유가증권 시장의 위협이 되고 산업 생태계 활력을 떨어트린다”며 “투자자 보호와 건전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구조조정의 경우 규모별·업종별 한계기업을 선별해 차등화해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규모별로는 한계기업 중 중소기업의 수와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경영개선 상황도 대기업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만큼 정책의 초점을 중소기업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한계기업 중 중소기업의 비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에는 전체 기업 중 62.2%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매년 소폭 증가하더니 지난해에는 71.7% 수준까지 올라섰다. 지난해 기준 전체 한계기업 251곳 중 180곳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