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회의 화상경마장(마권 장외발매소) 신규 건립이 또 다시 지역사회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사진은 용산 화상경마장 반대 집회 당시 모습. /뉴시스
마사회의 화상경마장(마권 장외발매소) 신규 건립이 또 다시 지역사회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사진은 용산 화상경마장 반대 집회 당시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멀리 떨어진 경기도 양평군과 강원도 양양군이 최근 같은 논란으로 시끌시끌하다. 화상경마장 유치를 놓고 찬반 갈등이 점점 더 거세지고 있는 것이다.

논란의 시발점은 지난 9월 마사회의 ‘2018년 장외 발매소 대상 물건 모집 공고’였다. 이른바 ‘화상경마장’을 건립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모집 공고다.

양평군과 양양군은 충남 금산군과 함께 이 같은 모집 공고에 응했다가 거센 논란에 휩싸였다. 화상경마장 유치를 추진하는 측 및 찬성하는 주민들과 반대하는 주민들이 어김없이 갈등 구도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양평군은 서둘러 조건부 동의 의사를 철회하며 모집 접수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는 모습이다.

양양군의 경우 갈등이 더욱 거세다. 찬반 주민 사이의 갈등은 물론 군과 군의회의 대립양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결국 양양군은 화상경마장의 유치 여부를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발 물러섰지만, 찬반 의견이 모두 존재하는 만큼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금산의 경우 아직 양평이나 양양과 같은 거센 논란은 일지 않고 있다. 물론 언제든 갈등이 불붙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금산군수는 “주민 반대가 심할 경우 무조건 추진하지 않겠다”며 유치 철회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다.

◇ 매출 70% 차지하는 화상경마장… 포기할 수 없는 이유

화상경마장을 둘러싼 이 같은 갈등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는 용산 화상경마장이 있고, 그밖에 다른 지역에서도 같은 양상의 갈등이 반복돼왔다. 이미 운영 중인 화상경마장의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신규 건립 역시 반대에 부딪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먼저 마사회의 수익구조다. 화상경마장은 마사회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하는 등 가장 큰 수익원 중 하나다. 또한 건립비용에 비해 매출 증대 효과가 높은 가성비가 뛰어난 시설이다. 마사회 입장에선 화상경마장 확충 및 유지가 매출과 직결되는 사안인 셈이다.

하지만 마사회는 화상경마장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용산 화상경마장이 결국 문을 닫은 가운데, 부천과 대전의 화상경마장도 운영기한이 3년 밖에 남지 않았다. 이들 시설 역시 지역사회 반대로 인해 운영기한 연장은 어려워 보인다.

이에 새로운 장소를 찾아 나선 마사회는 복합형(승마공원, 문화·체육시설 등) 화상경마장 모델을 내놓기도 했지만, 여전히 반대 여론을 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두 번째는 지역사회의 이해관계다. 찬성하는 쪽에선 지역경제 활성화와 낙후지역 개발 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마사회의 다양한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반면, 반대하는 쪽에선 사행성을 가장 큰 이유로 꼽는다. 도박 중독 등을 유발하고, 교육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반대의 주된 이유다.

주목할 점은 김낙순 마사회장 시대에 접어들어서도 이 같은 갈등 및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새로 취임한 김낙순 마사회장은 취임 후 “마사회는 경마만 하는 곳이 아니며, 경마는 말산업의 일부”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도박’ 이미지가 강한 마사회의 방향성을 ‘승마의 대중화’로 바꾸겠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내놓은 추진전략은 사회통합, 상생협력, 윤리경영, 지역사회 신뢰구축이었다.

특히 화상경마장 갈등의 대표사례였던 용산 화상경마장을 기숙사로 전환한 것은 ‘김낙순 시대’의 변화를 상징하는 조치였다.

하지만 용산 화상경마장을 대체할 새로운 지역을 찾는 과정에서 일으키고 있는 지역갈등은 김낙순 마사회장이 밝힌 마사회의 변화 방향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