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울산시청에서 열린 전국경제투어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앞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울산시청에서 열린 전국경제투어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앞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

지난 17일 울산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이 수소차 홍보대사라고 자처하며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180만대의 수소차를 보급하고, 수소차 및 연료전지 부문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보조금 확대, 규제 완화, 산업 생태계 조성 등 전폭적인 지원을 다짐했다.

문재인 정부의 수소차 사랑은 앞서도 수차례 드러난 바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현대자동차의 첫 수소차 시판 모델인 넥쏘 시승에 나서기도 했다. 또한 지난해 10월에도 프랑스 파리 순방 중 넥쏘를 시승하며 수소차 알리기에 적극 나선 바 있다.

정부는 수소차를 중심으로 한 ‘수소경제’가 여러 측면에서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수소차는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친환경’ 부문에서 뛰어난 강점을 지닌다. 또한 수소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이 같은 일성에 수소차 관련주들이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성장세가 다소 더뎠던 수소차에게 완전히 새로운 국면이 열리기 시작한 것이다.

청와대가 업무용으로 쓰고 있는 수소차 넥쏘. 정부는 수소차 사업 육성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다짐했다. /뉴시스
청와대가 업무용으로 쓰고 있는 수소차 넥쏘. 정부는 수소차 사업 육성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다짐했다. /뉴시스

◇ 수소차, 누구냐 넌

수소차하면 가솔린차, 디젤차와 같이 수소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이는 큰 오해다.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가 결합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해 이를 동력으로 삼는다. 즉, 수소차의 동력원은 전기이며, 좀 더 정확한 명칭은 ‘수소전기차’라 할 수 있다. 실제 전기차와 수소차는 설계 및 부품 등 구성이 약 70% 일치한다고 한다.

사촌형제 정도의 관계지만, 차이점도 뚜렷하다. 전기차는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해 이를 동력으로 삼지만, 수소차는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동력으로 삼는다. 따라서 전기차는 전기 자체를 충전하고, 수소차는 전기를 만들기 위한 수소를 충전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장단점으로도 이어진다. 전기차의 경우 사실상 어디에서나 충전이 가능하는 것이 장점이다. 전기콘센트만 있으면 충전기 가능하다. 다만, 아직까진 충전에 적잖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 단점이다. 반면 수소차는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듯 수소를 충전하면 곧장 달릴 수 있다. 대신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전기차와 수소차 중 어떤 것이 더 친환경적일까? 답을 내리긴 어렵다.

전기차와 수소차 모두 매연을 발생시키진 않는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다.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불가피하다. 수소차의 경우에도 수소를 만들 때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주로 전기를 이용하거나, 석유화학 공정을 통해 수소를 얻기 때문이다. 즉, 전기차와 수소차 모두 그 자체로는 환경오염이 없을지 몰라도, 아직 완전한 친환경이라 보기 어려운 것이다.

다만,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공기정화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소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미세먼지 등 불순물을 걸러내기 때문이다. 이에 수소차는 ‘달리는 공기청정기’라 불리기도 한다.

일찌감치 수소차 개발에 주력해온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수소차 넥쏘는 1시간을 달리는 동안 26.9kg의 공기를 정화한다. 또한 넥쏘 10만대가 2시간 운행할 경우, 서울시 인구의 86%(약 854만 명)가 1시간 동안 마시는 양의 공기를 정화한다고 한다.

한편, 수소차를 둘러싼 논란 중 하나로 안전성이 있다. 마치 수소폭탄과 같은 폭발 위험성이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전문가 및 업계에서는 이 같은 우려가 지나친 기우라고 말한다. 안전성이 입증된 탱크를 사용할 뿐 아니라, 수소를 폭발시키는 것 자체가 무척 복잡하고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한 사고 및 화재에 대한 대비도 충분히 마련돼 있다고 강조한다. 적어도 화재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가솔린차 및 디젤차에 비해서는 안전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 /뉴시스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 /뉴시스

◇ 비싼 가격·해묵은 규제… 전기차와 패권다툼도 ‘숙제’

이처럼 환경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는 수소차.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에 비해 보급 및 확산이 더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개발에 성공하는 등 이 부문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었지만,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수소차 시대를 앞당기고, 주도하기 위해선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수소차의 대중화가 늦어지고 있는 가장 첫 번째 이유는 비싼 가격이다. 수소와 산소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촉매제 백금인데, 이 백금이 무척 비싸다. 따라서 백금 필요량을 줄이는 기술 개발이나 백금의 공급단가를 낮추는 방안 등 대안이 요구된다.

또 하나의 과제는 보다 합리적인 수소 생산과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이다. 먼저, 수소 생산과 관련해서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좋은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만약 이러한 기술이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수소차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될 전망이다.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특히 수소충전소 확충 관련 규제 해소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행법상 수소충전소는 자격증을 가진 안전관리자가 있어야 하고, 수소 주입도 자격증을 가진 직원만 할 수 있다.

전기차와의 패권다툼도 중요한 과제다. 현재로선 전기차보다 뒤처져있는 것이 사실인데, 서둘러 따라잡지 못하면 미래 친환경 자동차 산업의 패권을 빼앗길 수 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이 전기차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스런 대목이다. 그만큼 보다 빠른 산업 육성 및 보급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