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 국내 보안시장 규모 및 수요 발표

보안뉴스에서 2019년 물리보안 및 사이버보안시장 규모와 공공부문(국가기관/공공기관/지자체 등)의 올해 보안 수요, 그리고 보안장비의 각 국가별 수출현황을 꼼꼼하게 분석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 표지.
보안뉴스에서 2019년 물리보안 및 사이버보안시장 규모와 공공부문(국가기관/공공기관/지자체 등)의 올해 보안 수요, 그리고 보안장비의 각 국가별 수출현황을 꼼꼼하게 분석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 표지.

[시사위크=강준혁 기자] 2019년 국내 보안시장 규모는 5조7,517억원(물리보안시장 3조8,144억원, 사이버보안시장 1조9,373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발간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국내 보안 시장은 5조5,199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으며, 물리보안시장이 3억6,607억원, 사이버보안시장이 1억8,592억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에는 5조7,517억 규모로 성장하면서 다른 산업군에 비해 고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 물리보안시장, 전년대비 4.2% 성장 기대

2018년에는 많은 지자체가 기존의 통합관제센터에서 주민 체감형 사업을 위한 스마트시티로 확대하면서 사업 기틀을 닦는데 집중했다. 이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투자가 확대되고 있고, 지능형 영상관제의 도입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2019년에는 2018년의 시범사업을 토대로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되며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업계는 세계 경기가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서도 미•중 통상분쟁에 따른 대미수출 기회를 잡기 위한 발편을 마련하는데 동력을 쏟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는 2019년 물리보안시장이 전년대비 4.2% 성장한 3조8,144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가장 비중이 높은 분야는 통합보안 서비스로 시장 규모는 1조5,254억원(40%)이다. 이어 CCTV 영상감시(1조3,438억원, 35.23%), 출입통제(3,978억원, 10.43%), 생체인식(2,834억원, 7.43%), 알람•모니터링(2,640억원, 6.92%)의 순이었다.

◇ 랜섬웨어 등 보안 위협… 사이버보안시장 성장 전망  

사이버보안시장 역시 2017년부터 워너크라이와 페트야•낫페트야 랜섬웨어 창궐 등 각종 보안위협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기업은 물론 일반인들까지 보안의 중요성이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이 사회 인프라 전반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노력으로 2018년까지 이어졌다. 특히, 올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ICT 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보안이슈가 더욱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보안시장 규모는 1조9,373억원이며 정보보안 제품이 1조4,645억원, 정보보안 서비스가 4,728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상세 내역을 살펴보면 정보보안 제품 중 △네트워크 보안이 4,501억원 △시스템(단말)보안 2,153억원 △콘텐츠/정보유출 방지 보안 3,090억원 △암호/인증 851억원 △보안관리 1,598억원 △기타 2,542억원이다. 정보보안 서비스는 보안관제가 2,011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보안컨설팅 1,128억원 △유지관리/보안성지속 서비스 1,088억원 △인증서비스 487억원 △교육/훈련 14억원 등이다.

◇ 공공부문 보안장비•SW 구매 증가...보안시장 활성화 견인할 듯

또한, 올해는 공공부문을 필두로 보안장비•SW의 구매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공공부문의 보안장비 및 SW 구매 규모는 4조814억원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7.3%(2,784억원) 증가한 것이다. SW는 전년대비 2,737억원(9.4%) 증가한 3조1,710억원, ICT장비는 전년대비 47억원(0.5%) 증가한 9,104억원으로 집계됐다.

기관 유형별로는 공공기관이 1조6,800억원(41.2%)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기관 1조5,473억원(37.9%), 지자체 8,172억원(20%), 교육기관 369억원(0.9%)이었다.

분기별로는 1분기에 2조6,638억7,500만원(65.3%), 2분기 7,760억6,500만원(19%), 3분기 3,595억4,700만원(8.8%), 4분기에 2,819억1,000만원(6.9%)이며 전체의 84.3%가 상반기에 집행될 예정이어서 2019년 3월 6~8일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세계보안엑스포 & 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SECON & eGISEC 2019)에 공공부문의 수요자들이 대거 참관해 제품 구매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발간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국내 보안시장 규모는 5조7,517억원(물리보안시장 3조8,144억원, 사이버보안시장 1조9,373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018~2020 보안시장 규모. *반올림으로 액수상 오차가 있음. 2차 조사를 통해 제조사와 유통사의 중복매출을 제거함 / 출처: 보안뉴스·시큐리티월드
최근 발간된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국내 보안시장 규모는 5조7,517억원(물리보안시장 3조8,144억원, 사이버보안시장 1조9,373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018~2020 보안시장 규모. *반올림으로 액수상 오차가 있음. 2차 조사를 통해 제조사와 유통사의 중복매출을 제거함 / 출처: 보안뉴스·시큐리티월드

◇ IP 카메라 수출 북미 1위, 수입은 아시아 1위

그럼 올해 보안장비의 해외 수출은 어떤 양상을 띠게 될까. 이는 대표적인 보안장비인 IP 카메라의 3년간 수출입 추이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2016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우리나라가 해외 곳곳에 수출한 IP 카메라의 수출금액은 6억2,177만5,453달러였으며 연도별로는 2016년 2억1,441만8,132달러, 2017년 2억1,919만6,459달러, 2018년 10월까지 1억8,816만862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IP 카메라의 북미 수출액 비중이 2016년 43.2%로 가장 높았지만 2017년 35.6%, 2018년 36.3%로 시간이 흐르며 수출액과 비중이 감소했다. 반면,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중동 지역의 수출액은 조금씩 증가했다. 2018년에는 특히 유럽과 중동, 남미 등의 수출액이 높아지며 새로운 해외시장을 개척•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수입한 IP 카메라의 구입금액은 2016년 1억4,257만4,929달러에서 2017년 1억6,231만2,907달러, 2018년 10월까지 1억2,683만3,690달러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륙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수입한 IP 카메라는 3분의 2가 아시아에서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에서의 수입액을 살펴보면 2016년 8,867만842달러에서 2017년 1억106만7,098달러, 2018년 10월까지 8,702만5,29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10월을 기준으로 수입액의 68.6%에 해당한다.

두 번째로 많이 수입한 대륙은 유럽이었다. 유럽에서의 수입액은 △2016년 3,796만6,100달러 △2017년 4,482만3,832달러 △2018년 10월까지 3,152만 6,286달러로 2018년 10월 기준 점유율은 24.8%였다.

◇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 사이버보안까지 영역 확대

최근 발간된 <2019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의 가장 큰 변화는 기존 물리보안을 넘어 사이버보안까지 보안시장 전 영역으로 통계조사를 확대했으며, 올해 보안장비•SW 구매 수요를 기관별로 심층 분석하는 등 각종 보안관련 통계가 모두 담긴 364페이지 분량의 단행본으로 발간됐다는 점이다.

<2019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는 2019년 보안시장 전망을 기본 축으로 국내외 보안기업의 매출 분석과 정부&지자체 수요 분석, 대륙별 수출입현황, 해외 시장 현황, 국내외 인증과 국내외 공공조달시장 진출 포인트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다.

대륙별 수출입현황은 IP CCTV 카메라와 아날로그 CCTV 카메라로 구분했으며, IP 카메라의 경우 대륙별 그리고 나라별로 세분화해서 각 국가별 보안장비 도입추세를 살펴보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9년 공공부문 보안장비•SW 구매 수요 예산은 물리보안과 사이버보안으로 구분하고, 국가기관과 공공기관, 지자체, 교육기관별로 ICT구매, SW구축, SW구입 책정 예산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함으로써 보안시장의 올해 트렌드를 예측하는 것은 물론 물리보안과 사이버보안 업체들의 영업 자료로서도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