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이 공식화된 가운데, 양측이 어떠한 내용을 주고 받을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AP-뉴시스
2차 북미정상회담이 공식화된 가운데, 양측이 어떠한 내용을 주고 받을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AP-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미국과 북한이 오는 27일 베트남에서 2차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한 가운데, 양국 정상들이 어떠한 수준의 합의를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포괄적·선언적 의미가 강했던 1차 정상회담 합의문보다는 진전된 문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비핵화와 관련해 북한은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 및 우라늄 농축시설 폐기를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는 지난해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상응조치’를 전제조건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약속한 바 있다. 미국 측이 제시하는 반대급부로는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개성공단 양허, 종전선언 등이다.

관건은 ‘제재완화’라는 문구가 합의문안에 포함될지 여부다. 협상에 앞서 북한은 ‘제재해제’를 공개적으로 요구한 반면,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까지 대북제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맞서며 좀처럼 간극을 찾지 못했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제재완화에 대한 북미 간 타협이 얼마나 이뤄지느냐를 이번 정상회담 성패의 핵심요소로 보고 있다.

7일 tbs라디오에 출연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상응조치들을) 다 묶어서 ‘제재 완화냐 해제냐’ 제재를 완화시켜주는 그런 표현이 나오느냐가 관전 포인트”라며 “(대북제재에 대한) 의견 접근이 안 되면 베트남에서 열기로 돼 있는 북미정상회담도 결국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현재까지 정황으로는 긍정적인 전망이 가능하다. 실무협상이 평양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그간 실무협상에서 북한의 최종결정이 지연되는 측면이 있었는데, 평양 개최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됐다는 평가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반드시 큰 진전을 보려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의지가 반영된 측면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 전 장관은 “(평양 실무회담은) 북한 쪽의 결심을 받아내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산이 깔린 조치”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하는 측면도 있지만, 그걸 받아들인 김 위원장 입장에서 보면 미국이 가져온 보따리가 괜찮으면 통 큰 양보를 할 수도 있다는 그런 암묵간의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비건이 거기까지 간 것”이라고 해석했다.

베트남이 개최지로 선정된 것도 결과를 낙관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 베트남은 북한과 오랜 우방국이며 하노이에 북한 대사관이 위치해 실무준비에 용이한 측면이 있다. 또한 베트남은 김 위원장이 구상하는 경제발전 모델국가이기도 하다. 북한 입장에서 국제적으로 메시지를 내기 좋은 환경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