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세계여성의 날인 지난해 3월 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전국여성노동자대회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세계여성의 날인 지난해 3월 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전국여성노동자대회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이선재 기자]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도 여전히 1위였다.

25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17년 통계가 나온 8개국 중 가장 높은 35.3%를 기록했다. 이는 2위인 미국(29.07%)보다도 6.23%p 높은 수치다.

더 많은 국가별 통계가 있는 2016년 기준으로도 한국은 37.2%로 23개국 중 1위였다. 2위인 이스라엘(30.42%)보다도 7%p 가량 차이가 났다. 반면 핀란드(9.63%)와 이탈리아(9.07%), 벨기에(5.40%)는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중이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OECD 평균은 20.01%로, 한국보다 17.19%p 낮았다.

OECD는 중위임금(전체 노동자의 임금을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의 3분의2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저임금으로 본다.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00년 45.77%에서 2011년 38.21%로 처음으로 40% 밑으로 떨어졌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관련 통계에서도 4년 연속 하락세다. 하지만 여전히 OECD 1위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은 것은 출산, 육아 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재로 연령대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면 결혼과 출산 등이 많은 30대 중후반에서 급격히 하락하다가 이후 점차 상승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한국인행도 지난해 ‘주요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여 증가 배경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OECD는 ‘한국이 일·가정 양립 제도를 정비하고 있으나 장시간 근로와 출산 여성에 대한 불이익 등으로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면서 “보육 지원 확충과 육아휴직 활용 등으로 여성 노동 시장의 양적·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다 보니 전체 저임금 노동자 비율도 2017년 22.3%로 미국(24.5%)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2016년에도 23.5%로 미국(24.91%)에 이어 24개국 가운데 2위였다.

반면 남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2017년 14.3%로 OECD 8개국 중 5번째로 높았고, 2016년에는 24개국 중 9위(15.3%)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