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2018년도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모금액’ 자료에 따르면 중앙당 후원회는 총 43억 7,800여 만 원을 모금했다. / 뉴시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2018년도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모금액’ 자료에 따르면 중앙당 후원회는 총 43억 7,800여 만 원을 모금했다. / 뉴시스

[시사위크=은진 기자] 지난해 중앙당 후원회 모금내역을 집계한 결과, 정의당·민중당·대한애국당이 더불어민주당보다 많은 후원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내교섭단체 기준에 못 미치는 군소정당이 중앙당 후원금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이다. 자유한국당은 중앙당 후원회를 설치하지 않아 집계에서 제외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2018년도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모금액’ 자료에 따르면, 중앙당 후원회는 총 43억 7,800여 만 원을 모금했다. 9개 정당 중 정의당이 16억 9,431만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모았고 민중당 13억 9,947만원, 애국당 4억 5,224만원, 민주당 2억 7,041만원, 녹색당 1억 9,419만원, 노동당 1억 8,912만원, 우리미래당 1억 5,630만원, 바른미래당 1,590만원, 민주평화당 641만원 순이었다.

정의당은 2년 연속 정당 후원금 모금액 1위를 했다. 원내 의석수는 5석에 불과해 원내비교섭단체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지지자들의 소액후원과 정의당의 주요 지지층인 노동조합원들의 후원이 모여 이 같은 결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노회찬 전 의원이 별세하면서 당원과 후원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앙당 후원회 제도는 불법 정치자금 논란으로 2006년 3월 폐지됐으나, 2017년 6월 정치자금법 개정으로 부활했다. 이에 따라 중앙당 후원회를 두고 있는 각 정당은 연간 50억원, 선거가 있는 해엔 연간 100억원까지 모금할 수 있게 됐다.

국회의원 후원금 모금액 상위권은 대부분 민주당 의원들이 차지했다. 노웅래 의원이 3억 2,379만원으로 1위에 자리했고 박주민 의원 3억 2,143만원, 한정애 의원 3억 2,067만원, 이해찬 의원 3억 1,722만원으로 민주당 의원들이 상위 1~4위를 싹쓸이했다. 상위 10위권을 따져봤을 때 민주당 외 정당 소속으로는 주호영 한국당 의원(3억 1,406만원), 정동영 평화당 의원(3억 987만원)이 있었다.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298개 국회의원 후원회는 총 494억9074만원을 모금한 것으로 집계됐다. / 뉴시스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298개 국회의원 후원회는 총 494억9074만원을 모금한 것으로 집계됐다. / 뉴시스

◇ ‘깜깜이’ 후원도 비일비재

친분이 있는 국회의원끼리 후원하는 사례는 올해에도 있었다. 이철희 민주당 의원은 같은 당 기동민 의원에게 500만원을 후원했다. 정청래 민주당 전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를 넘겨받은 무소속 손혜원 의원에게 500만원을 기부했다. 이군현 한국당 전 의원은 같은 당 권성동 의원에게 500만원을 후원했고, 오세정 바른미래당 전 의원(현 서울대 총장)은 같은 당이었던 신용현 의원에게 두 차례에 걸쳐 총 400만원을 냈다.

거액의 정치자금을 후원하면서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는 ‘깜깜이’ 후원도 비일비재했다. 연간 300만원을 초과한 기부금을 낼 때는 기부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 직업, 전화번호 등 인적사항을 기재해야 하지만 공란으로 남겨진 경우가 적지 않았다. 사실상 인적사항을 정확히 적지 않아도 처벌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18년 300만원 초과 고액 기부자 명단을 보면 당해 고액기부 사례 3,268건 가운데 후원자가 밝혀야 하는 직업을 아예 적지 않은 경우가 72건이었다. 직업을 기재했더라도 ‘회사원’(1,082건), ‘자영업’(954건), ‘사업’(89건), ‘직장인’(82건) 등 모호하게 밝힌 사례가 다수였다. ‘기타’라는 응답도 수두룩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각 정당 및 후원회의 회계책임자가 제출한 회계보고서 등을 공고일로부터 3개월간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고, 회계보고 내역에 이의가 있는 사람은 열람기간 중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면서 “깨끗하고 투명한 정치문화 정착을 위해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