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강릉 헌화로에서 발생한 사고는 부정한 방법으로 ‘쏘카’ 차량을 빌려 이용하다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지난 26일 강릉 헌화로에서 발생한 사고는 부정한 방법으로 ‘쏘카’ 차량을 빌려 이용하다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지난 26일 새벽, 강릉 헌화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는 젊은 대학생 5명이 사망하며 큰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구불구불 커브가 심한 해안도로에서 차량이 바다로 추락한 이번 사고는 과속 또는 운전 미숙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가드레일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카셰어링 ‘쏘카’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리부실 논란이 제기된다.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카셰어링, 그중에서도 업계 1위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쏘카의 숙제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 작정하면 막을 방법 없어… 경고·안내 부족은 ‘아쉬움’

강릉 해안도로 추락사고의 운전자는 19살로 이제 갓 면허를 딴 상태였다. 차량은 ‘쏘카’를 통해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쏘카’는 ‘만 21세 이상, 운전면허 취득 후 1년’의 조건을 충족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쏘카’를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동네 아는 형’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차량을 빌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형의 아이디를 이용해 손쉽게 차량을 빌렸다. 별도의 대면 절차 없이 예약과 인수, 반납, 결제 모두 스마트폰으로 진행되는 구조의 ‘쏘카’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쏘카’ 관계자는 “명의도용으로 차량을 빌리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는 마련돼 있다. 하지만 이번처럼 실제 아이디 주인이 적극적으로 협조할 경우엔 막을 방법이 없다”라고 말했다.

‘쏘카’ 측 설명대로 작정하고 부정을 저지르면 막을 방법이 없는 것은 사실이다. 대면 절차가 있는 렌트카도 A가 차량을 빌려 B에게 가져다주는 것을 막지 못하는 점과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이번 사고를 통해 ‘쏘카’의 한계와 숙제가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렵다.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고 젊은 층의 이용 비율이 특히 높은 만큼, 각종 부정행위와 이에 따른 사고 등을 막을 확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강릉 해안도로 사고가 발생한 뒤 기자가 직접 ‘쏘카’ 예약을 진행해본 결과, 금지사항에 대한 경고나 안내는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이 담긴 건 결제 전 맨 마지막 단계에 마련된 ‘페널티 규정’ 항목이다. 다만, ‘반납지연, 흡연 등 다른 쏘친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제한하고, 건전한 카셰어링 문화조성을 위해 페널티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라고만 안내하고 있다.

이 항목을 펼치면 흡연 등 몇 가지 주요 부정행위와 그에 따른 페널티 정책도 확인 가능한데, 여기서 ‘동승운전자의 단독운행 및 제3자 운전’에 따른 페널티는 ‘10만원 및 보험/면책 적용 불가’로 명시돼있다.

부정사용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사실이지만, 부정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는 정책 또는 경고, 안내가 부족해 보이는 것 또한 사실이다. ‘쏘카’의 가장 큰 장점인 신속성과 편리함의 또 다른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쏘카’로 대표되는 카셰어링 업계 모두에게 해당되는 숙제다.

‘쏘카’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도 이번 사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부분도 있지만, 부정사용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사고와는 무관하게 준비해온 4월초 업데이트를 통해 이용과정에서의 인증절차가 강화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로 드러난 것은 부정사용에 속수무책인 ‘쏘카’의 구조적 한계만이 아니다.

젊은 층의 사고가 많다는 점 또한 ‘쏘카’의 딜레마다. 아직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스마트폰 및 새로운 문화에 익숙한 20대 초중반은 ‘쏘카’의 핵심고객층이다. 점차 다양한 세대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앞으로도 20대 초중반의 비중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이들에게서 발생하는 부정행위 및 사고의 비율 또한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쏘카’ 역시 내부적으로 이와 관련된 고민이 계속되고 있으며, 해당 고객층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의 비중을 과거에 비해 축소하는 등 방법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공유경제가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이용자들의 선의가 바탕 돼야 한다는 것 또한 이번 사고가 남긴 메시지다. 해당 업체의 관리 강화도 중요하지만, 이번 사례와 마찬가지로 원천차단은 불가능한 게 현실이다. 편리한 만큼 이용자 모두가 책임감을 갖고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 또한 요구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