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특사로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는 정의용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뉴시스
대북특사로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는 정의용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 대북특사를 파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노이 북미회담 이후 멈춰선 대화를 조속히 재개하고, 한미정상회담의 내용을 김정은 위원장과 공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국 순방을 떠나기 전 관련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고 있다.

특사로 유력하게 점쳐지는 인물은 정의용 안보실장이다. 정의용 안보실장은 지난해 3월과 9월 각각 대북특사단을 이끌고 김정은 위원장과 만난 경험이 있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이 생각하는 ‘굿 이너프 딜’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을 설득하기에 적합한 인사라는 평가다.

또한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 정 실장이 동행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된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다른 곳에 가는 게 아니다”며 순방기간 정 실장의 특사파견 가능성을 일단 일축했다.

정 실장과 함께 서훈 국정원장도 유력한 특사 후보자다. 대북 정보라인 최고 책임자로서 북한의 사정을 정확히 알고 있으며, 북한 인사들과의 접촉면도 넓다는 점에서다. 이번 특사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만큼,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정 실장과 서 원장을 함께 파견하는 방법이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이낙연 총리를 특사로 파견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속도감과 무게감을 주기 위해 거물급 인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다. 다만 청와대는 “논의된 바 없다”며 이낙연 총리 대북특사설을 부인했다.

특사를 파견한다 하더라도 상황은 녹록치 않다. 북한과 김 위원장의 구미가 당길만한 제안을 만들어야 하는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3차 북미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대북제재 유지와 ‘빅딜’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에 반해 김정은 위원장은 빅딜에 대한 반대의사를 분명히 밝혔으며, 중재자를 자처하는 우리 측에도 쓴소리를 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올해 말까지는 인내심을 갖고 미국의 용단을 기다려볼 것이지만 지난번처럼 좋은 기회를 다시 얻기는 분명 힘들 것”이라며 “일방적으로 자기의 요구만을 들이먹이려고 하는 미국식 대화법은 체질적으로 맞지 않고 흥미도 없다”고 했다. 아울러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제정신을 가지고 할 소리는 당당히 하면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