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G 살리기’에 나선다. 조기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적이다. 다만,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5G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인 탓이다. /그래픽=이선민 기자
정부가 ‘5G 살리기’에 나선다. 조기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적이다. 다만,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5G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인 탓이다. /그래픽=이선민 기자

시사위크=최수진 기자  5G 논란이 계속되자 정부가 나섰다. 서비스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매주 회의도 개최해 5G 현안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다만, 이를 통해 5G 조기 활성화에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 매주 5G 회의… 기술적 대안도 마련

정부가 5G 살리기에 나섰다. 최근 5G 품질 논란으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지자 정부가 직접 해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5G 이동통신 상용서비스 안정화 및 품질개선을 위해 과기정통부, 통신3사, 제조사 등으로 구성된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특별팀(TF)을 운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5G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결정이다. 서비스 수신 가능범위(커버리지) 확대, 끊김 현상 등 기술적 문제 해결 등을 논의하고 주요 내용을 공개해 대국민 소통을 강화한다. 

또, TF팀은 매주 회의를 개최해 5G 서비스 관련 현안을 점검할 계획이다. 오는 23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결정은 국민이 5G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정부, 통신3사, 제조사 간 정보를 공유하고 기술적 대안을 마련해 현장 적용에 나설 예정이다. 

◇ ‘조기 활성화’ 위한 결정… 성공은 미지수

업계는 상반기 내로 품질 안정화를 끝내겠다는 입장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22일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ICT 돌봄센터’ 출범식에서 “최대한 빨리 할 것”이라며 “6월 내로 안정화하겠다”고 말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역시 최근 임원회의를 열어 “5G 초기 미흡한 사항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이에 대해 무엇보다 고객과 진솔하게 대화해야 한다”며 “지금은 최고의 5G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부와 업계의 행보는 5G 조기활성화에 성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판단된다. 특히, 정부는 5G 생태계를 구축해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의 목표를 실현해야 하는 만큼 최근 문제가 되는 5G 품질 논란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정부는 5G 조기활성화를 통해 관련 생태계를 확장, 2026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2026년 생산액 180조원과 수출 73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정부의 움직임이 5G 조기활성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5G 품질이 안정될 때까지 소비자의 인식이 바뀌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가 ‘5G 통신요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5.2%가 5G 요금제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 그 이유를 ‘초고속 속도를 체감하고 싶어서’로 꼽았다. 

아울러, 응답자의 38.1%는 ‘고화질 동영상을 끊김 없이 보고 싶어서’라고 대답했으며, 5G 연상 이미지로는 응답자 10명 중 6명이 ‘빠름·속도·초고속’이라고 답했다. 대다수의 소비자는 초고속 속도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5G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