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범찬희 기자  산적한 과제를 안고 있는 배달업계에서 모두가 반길 만한 희소식이 전해졌다. 프랜차이즈와 배달 업체, 서울시가 삼위일체가 돼 배달용 오토바이를 친환경 전기이륜차로 바꿔나가기로 했다는 거다.

현재 서울시에 등록된 이륜 오토바이는 44만6,000대라고 한다. 이 중 프랜차이즈나 배달업체 등에서 배달용으로 사용되는 건 22% 수준인 10만대다. 시의 계획대로만 된다면 6년 뒤에는 서울의 오토바이 5대 중 1대는 매연과 소음 걱정에서 자유롭게 된다.

엔진 이륜차는 소형 승용차에 비해 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인 질소산화물(NOx)을 약 6배 이상 배출한다는 점에서 뿌연 하늘이 일상이 된 서울의 공기질 개선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공기질이나 소음과 같은 환경 문제 못지않게 업계가 머리를 맞대 서둘러 풀어야 할 선결 과제가 있다. 바로 ‘안전’ 문제다. 속도 경쟁에 일부 라이더들의 안전 의식 부재가 겹치면서, 배달 오토바이는 어느새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가 됐다. 좁은 골목길에서 행인들 사이를 곡예 운전을 하 듯 빠져나가는 배달 오토바이를 목격한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실제 이륜차 교통사고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08년 1만여 건이던 이륜차 교통사고는 2017년 1만4,000여건으로 증가했다. 이 중 정확한 배달용 오토바이 비중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배달앱의 인기가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다음의 통계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울노동권익센터가 서울지역 음식배달 종사자 500명을 조사한 결과 10명중 3명꼴로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배달 오토바이로 인해 라이더와 시민 모두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지만 안전 문제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는 편이다. 배달앱 이용 시 일회용품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까지 마련됐지만, 안전 문제에 관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업체 어디에서도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라이더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 수준에 그치고 있다.

오토바이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거나, 라이더들의 자격의 강화하는 등 대책은 얼마든지 있다. 사회의 목소리를 등한시하지 않고 차근차근 진일보하고 있는 배달업계가 하루 빨리 라이더와 시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을 내놓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