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환경권 보호에 나서고 있다. 이에 전자업계에서도 정부의 기조에 힘을 싣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각각 플라스틱 줄이기, 탄소중립 등의 정책을 발표했다.
정부가 국민 환경권 보호에 나서고 있다. 이에 전자업계에서도 정부의 기조에 힘을 싣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각각 플라스틱 줄이기, 탄소중립 등의 정책을 발표했다.

시사위크=최수진 기자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환경보호, 친환경적인 생활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기업들도 환경 보호에 앞장선다. 전자업계 역시 같은 분위기다. 

◇ ‘환경 보호하자’… 정부 기조 힘 싣는 삼성·LG

‘친환경 캠페인’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환경권 보호는 정부의 국정과제이기도 하다. 실제 환경부는 올해 기업의 생산·경영 녹색화 등 녹색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친환경 생산 공정 촉진, 기업 경영의 녹색화, 친환경 설비 투자 확대 등이 핵심 내용이다.

이에 전자업계도 나섰다. 정부 기조에 힘을 싣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연내 다양한 환경 보호 캠페인을 진행해 기후 변화 이슈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LG전자는 지난 20일 ‘탄소중립 2030(Zero Carbon 2030)’을 선언했다.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천한다. 탄소중립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탄소의 배출량만큼 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 외부에서 탄소를 감축하는 활동을 통해 상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LG전자의 이번 결정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과도 맥이 닿아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내용으로, 2016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7% 수준에 그친다. 이를 2022년 10.5%까지 올리고 2030년 20%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LG전자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정책도 같은 내용이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2017년 대비 50%로 줄이는 동시에 외부에서 탄소감축활동을 통해 획득한 탄소배출권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국내외 생산사업장 및 사무실에서 193만톤의 탄소를 배출했으나 오는 2030년까지 50% 수준인 96만톤으로 줄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산 공정에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설비와 온실가스 감축장치의 도입을 확대한다.

LG전자 관계자는 “각 사업장에서 적극적으로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것”이라며 “기후변화로 인한 글로벌 이슈 해결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플라스틱 줄이기에 나섰다. 올 초부터 제품 포장재에 플라스틱과 비닐 대신 종이와 친환경 소재를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자원고갈과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 등의 환경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하기 위한 결정이다. 

이 역시 정부의 ‘미세플라스틱 저감’ 정책에 해당한다. 정부는 올해 플라스틱 사용 저감 및 플라스틱 재활용 촉진 등을 과제로 내세웠다. 올 상반기까지 과대포장 사전검사 의무화, 택배 과대포장 방지, 생활화학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규제방안 검토 등을 진행한다. 또, 재활용 용이성 평가와 생산자 재활용 의무를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출시하는 휴대폰, 태블릿, 웨어러블 등 모바일 제품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일회용 비닐 포장재를 올해 상반기부터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변경할 계획이다.

제품을 거치하던 플라스틱 재질 용기를 펄프몰드와 종이로 변경하고, 이어폰과 케이블을 감싸는 비닐류도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전환한다. 특히 충전기는 외관 디자인을 무광으로 변경하고 표면보호용 비닐을 제거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제품에 의한 환경오염 최소화를 위해 자원순환 중기목표를 수립해 추진 중”이라며 “제품 포장재에 플라스틱 대신 펄프몰드, 바이오 소재를 확대 적용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