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여성가족부.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여성가족부.

시사위크=박태진 기자  혼인과 혈연중심의 가족에서 생활 및 관계 중심으로 가족개념의 확장이 이뤄지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특히 연령층이 젊을수록 이 같은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정부는 모든 가족이 존중받고 편견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차별적 제도개선과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26일 여성가족부와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6.3%가 혼인·혈연에 무관하게 생계와 주거를 공유할 경우 가족으로 인정하는 데 동의하였다. 여성 66.4%, 남성 66.3%가 동의하여 성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75.2%) 동의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이 40대(74.2%), 30대(67.6%) 순으로 나타났다. 

반드시 함께 살지 않아도 정서적 유대를 가지고 친밀한 관계이면 가족이 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비동의(동의 48.5%, 비동의 49.6%) 가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개념에 정서적 관계는 물론이고 ‘생활 공동체’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가족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상대방에 대한 관념도 커지고 있다. 외국인과의 결혼, 이혼이나 재혼은 10명 중 약 9명이, 비혼 독신은 10명 중 약 8명(79.3%)이 수용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비혼 동거에 대해서도 높은 수용도를 보였다. 본인이나 자녀의 결혼상대자로 입양자녀, 한부모 가족 자녀, 다문화 가족 자녀, 재혼 가족 자녀에 대해서도 찬성하는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혼 동거 가족 자녀와의 결혼에 대한 찬성비율은 45.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가족에 대한 지원정책 수요도 역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부모 가족에 대한 지원 91.4%, 미혼부모가족 85.1%, 1인 가구 70.0%, 비혼 동거 63.4% 순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비혼 동거 등 법률혼 이외의 혼인 차별 폐지’에 3명 중 2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권인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은 “일반 국민의 가족 생활이 이미 다양화되고 의식도 변화한 만큼 혼인이나 혈연중심의 가족 개념을 확장하여 실제 가족생활을 반영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조사로 가족 형태와 가치관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대해 우리 국민들이 다양한 가족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모든 가족이 존중받고 편견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차별적인 제도 개선과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을 확대해 가겠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갤럽의 여론조사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유무선 RDD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해 CATI 시스템을 활용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국 성인남녀 1,009명이 최종 응답을 마쳤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 포인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