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고(故) 이희호 여사 사회장이 14일 엄수됐다. 사진은 이낙연 국무총리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치러진 고 이희호 여사 추모식에서 조사를 낭독하는 모습. / 뉴시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고(故) 이희호 여사 사회장이 14일 엄수됐다. 사진은 이낙연 국무총리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치러진 고 이희호 여사 추모식에서 조사를 낭독하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최영훈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고(故) 이희호 여사 사회장이 14일 엄수됐다. 사회장은 이날 오전 6시 30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한 이후 오전 7시 고인이 생전에 활동한 신촌 창천교회에서 장례 예배로 이어졌다. 이후 동교동 자택과 김대중도서관에서 노제가 진행됐고,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에서 추모식과 안장식으로 이어졌다.

장례 예배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조사(弔辭)를 통해 “이제 우리는 한 시대와 이별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 격랑 한복판에서 가장 강인하게 헤쳐오신 이 여사를 보내드리려 한다. 여사님은 남편이 감옥에 있거나 해외 망명 중에도 남편에게 편안함을 권하지 않고 하나님의 뜻에 맞게 투쟁하라고 독려하셨다”면서 “여사님, 그곳에는 고문도 투옥도 없을 것이고, 납치도 사형선고도, 가택 연금도 망명도 없다. 그곳에서 김 전 대통령과 평안을 누리십시오”라고 말했다.

현충원에서 진행한 추도식에서는 문희상 국회의장이 “여사님께서는 아내와 영부인이기 이전에, 이미 시대를 앞서갔던 선구자였다. 시대의 흐름을 읽어냈던 지도사였다”라고 고인을 추모했다.

그는 고인이 된 이 여사에 대해 “당신께선 불모지와 같았던 이 땅에서 제1세대 여성 운동가로 활동하셨고, 여성의 인권을 존중하고 높이는 데 평생을 애쓰셨다. 대한민국 여성운동의 씨앗인 동시에 뿌리였다”면서 “또한 한평생 민주주의 운동가였다. 1971년 대선에서 '만약 남편이 대통령이 돼 독재를 하면 제가 앞장서서 타도하겠다'는 다짐은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신념과 확신의 상징이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0일 이 여사 서거 직후 애도사에서 “여사님은 정치인 김대중 대통령의 배우자, 영부인이기 이전에 대한민국 1세대 여성운동가이다. 대한여자청년단, 여성문제연구원 등을 창설해 활동하셨고, YWCA 총무로 여성운동에 헌신하셨다”라며 “민주화운동에 함께 하셨을뿐 아니라 김대중 정부의 여성부 설치에도 많은 역할을 하셨다”고 고인의 삶을 회고했다.

이날 추도식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조의문도 낭독됐다. 김 국무위원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리희호 녀사가 서거했다는 슬픈 소식에 접해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애도와 위로의 뜻을 표한다. 리희호 녀사가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온갖 고난과 풍파를 겪으며 민족의 화해와 단합, 나라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기울인 헌신과 노력은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의 길로 나아가고 있는 현 북남관계의 흐름에 소중한 밑거름이 되고 있으며 온 겨레는 그에 대해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해찬 더불어민주당·황교안 자유한국당·손학규 바른미래당·정동영 민주평화당·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이어 추도사를 낭독하며 이 여사에 대한 추억과 생전 업적에 대해 기리고 영면을 기원했다. 추도식 이후 안장식은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에서 진행됐다. 기존 김 전 대통령 묘역을 개묘한 뒤 합장하는 방식으로 이 여사는 정치적 동지인 김 전 대통령 옆에 안장되는 것으로 사회장은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