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600대 기업 일·생활균형제도 현황 조사

주요 대기업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균형제도의 확대와 함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근로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68.8%)를 가장 많이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이 지난달 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탄력근로제 관련 주요 업종별 기업과의 간담회를 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고용노동부
주요 대기업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균형제도의 확대와 함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근로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68.8%)를 가장 많이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이 지난달 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탄력근로제 관련 주요 업종별 기업과의 간담회를 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고용노동부

시사위크=최민석 기자  주요 대기업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균형제도의 확대와 함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근로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68.8%)를 가장 많이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일·생활균형 확산을 위해 ‘일하는 문화 변경’(68.8%), ‘유연근무제 실시’(51.4%)를 올해 중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제도 현황’(144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일·생활균형 문화를 확산하는 동시에 업무 효율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도로 ‘집중근무시간제, 협업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68.8%)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보고․결재 업무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등 전자결재시스템 개편’(56.3%) △보고자료 간소화, 회의 자제 등 보고․회의문화 개편(52.1%) △자율좌석제 등 근무환경 유연화’(24.3%) 순(복수응답)으로 실시 중이라고 응답했다.

/ 한국경제연구원
/ 한국경제연구원

응답 기업은 지난해 7월,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이 일·생활균형제도에 미친 가장 큰 영향으로 ‘근로시간 관리 강화’(53.5%)를 꼽았고, ‘유연근무제 확대’(41.0%), ‘회식․휴가 및 여가활용 문화 개선’(38.9%) 순(복수응답)으로 답했다.

응답 기업 중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56.3%로 나타났다. 작년 주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추가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65.4%로 가장 많았고, ‘시차출퇴근제’(37.0%), ‘선택적 근로시간제’(35.8%),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14.8%)가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그 결과 현재 기업(81개사)들은 유연근무제 중 ‘탄력적 근로시간제’(66.7%)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이어 ‘시차출퇴근제’(51.9%), ‘선택적 근로시간제’(44.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22.2%) 순(복수응답)으로 응답했다.

유연근무제 도입 효과에 대해서는 △업무집중도 제고, 불필요한 야근 감소 등 조직문화 개선(64.2%) △직무 몰입도 및 만족도 상승(18.6%) △기업 경쟁력 강화(4.9%) 순으로 답했다. 반면 유연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 △업종‧직무 특성상 적합하지 않아서(41.3%) △직원 근태 등 인사․노무관리 어려움(28.6%) △고객․거래처 및 타부서 등 대내외 소통 불편’(15.9%)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육아휴직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6.2%로, 지난해 13.6%에 비해 2.6%p 상승했다. 출산·육아지원 제도 실시에 따른 애로요인으로 △동료 직원의 업무 부담 증가(54.2%)와 △휴가·휴직 급여, 대체인력 채용 등 인건비 상승(11.1%)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11.1%) △직무연속성 결여로 생산성 저하(7.6%)를 꼽았다.

/ 한국경제연구원
/ 한국경제연구원

응답 기업들이 법정의무제도 이외에 출산․육아 지원을 위해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제도는 ‘수유실 등의 여성 전용 휴게실 설치’(41.7%)가 가장 많았고, ‘임신․출산 관련 의료비 지원’(19.4%), ‘자동육아휴직제’(13.9%) 순(복수응답)으로 나타났다. 법정보장기간을 초과하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각각 6.9%, 9.0%로, 출산휴가는 최대 180일, 육아휴직은 최대 30개월까지 보장하고 있는 기업도 있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 중 ‘육아휴직 및 급여 지원’(47.1%)이 근로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연근무제 시행 장려금, 시간선택제 전환 인건비 지원 등 사업주 지원’(14.6%),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14.6%) 순이었다. 한편, 정부 정책 중 기업의 인력 운영에 실제로 가장 부담이 되는 제도 역시 ‘육아휴직제도’(36.8%)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35.4%)도 기업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은 일․생활균형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실시기업 지원금 인상 및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38.2%)와 ‘법적 규정 마련 및 위반 사업장 감독 강화’(24.3%), ‘대체인력 채용 지원 강화’(15.3%) 등의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올해 기업들은 일․생활균형과 관련해, ‘일하는 문화 변경’(68.8%), ‘유연근무제 실시’(51.4%), ‘출산 및 육아지원’(20.8%) 순(복수응답)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기업들은 일‧생활균형제도가 확대되고 근로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근로시간 관리를 강화하고, 보고․회의문화를 개선하는 등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