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 관계자로 구성된 실사단이 끝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현장실사를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뉴시스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 관계자로 구성된 실사단이 끝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현장실사를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 실사단은 끝내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정해놓은 기간이 넘어가면서 현장실사는 미뤄놓은 숙제로 남게 됐다. 풀어야할 숙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노조의 반대와 함께 최대 난관으로 꼽히는 기업결합심사 차례다.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 관계자들로 구성된 실사단은 당초 현장실사 기간으로 정해놓은 지난 14일까지 현장실사를 마무리 짓지 못했다. 조선소 출입문을 봉쇄한 채 막아선 노조를 끝내 넘지 못한 것이다. 실사단은 여러 차례 노조 설득에 나섰으나 결국 실패했고, 물리적 충돌이 예상되는 무리한 진입 시도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실사단은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현장실사를 잠시 미루기로 결정했다. 문서실사는 마무리된 만큼, 다음 절차를 우선 처리한 뒤 현장실사 일정을 다시 잡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음 절차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우여곡절 끝에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물적분할 안건을 통화시킨 한국조선해양은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해 국내외 기업결합심사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우선, 다음 달 초 공정거래위원회에 결합신고서를 제출해 국내 심사부터 진행한 뒤 EU, 일본, 중국 등 9개국의 관련 당국에 신고할 예정이다. 이 같은 국내외 심사는 올해 말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전망은 엇갈린다. 한국조선해양 측은 결합심사 통과를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독과점 등의 문제로 인해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핵심 선종 중 하나인 LNG운반선의 경우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점유율을 합하면 60%를 훌쩍 넘긴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노조 등 반대세력의 움직임도 간과할 수 없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이와 관련해 이미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에 대한 국민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또한 울산과 거제 지역의 지자체 및 정치권에서도 김상조 위원장을 향해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다. 뿐만 아니다.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해외에서의 결합심사 저지를 위해서도 공을 들이고 있다.

초유의 조선업계 빅딜이 험난한 폭풍우를 뚫고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