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제176회 중견기업 CEO 조찬강연회
생산 기지 이전·유통 거래 다변화 등으로 돌파구 찾아야

/ 이가영 기자
정갑영 연세대 명예특임교수가 ‘제176회 중견기업 CEO 조찬강연회’에서 강연을 하는 모습.  / 사진=이가영 기자

시사위크=이가영 기자 장기화되는 미중 무역분쟁에 대비하기위해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 낮춰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정갑영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25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의 ‘제176회 중견기업 CEO 조찬강연회’에서 “미중 갈등으로 거대 중국 기업의 미국 의존 탈피 현상이 일어나고, 글로벌 공급 체인과 유통 도소매 네트워크의 변화가 현실화하면서 우리 기업은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관련 거래 다변화, 금융 위험 분산, 효과적인 생산기지 전환 등을 통해 분쟁의 직접적인 악영향을 해소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코어테크(Core Tech)를 발굴, 심화해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전했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시름이 늘고 있다. 주 52시간제, 최저임금인상 등 급격한 노동환경 변화와 함께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된데 따른 경기부진까지 그야말로 내우외환에 빠진 모양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구조상, 재점화된 미중 무역분쟁은 기업 경영환경에 직격타일 수 밖에 없다. 이는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더하다. 

실제 중소기업연구원이 지난해말 발간한 ‘미중 무역분쟁이 국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대(對)미국 수출 감소에 따른 직접효과와 중국의 생산둔화에 따른 간접효과를 종합한 결과 한국기업의 중국 수출은 직간접효과를 합해 약 1.87%, 대기업은 1.1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상황이 이쯤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경영 전략을 수정하고 나섰다. 화웨이 사태를 계기로 IT(정보기술) 부문의 중국 의존도를 대폭 줄인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 5월 미국 상무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대상기업 목록에 올렸다. 화웨이 5G 장비에 백도어(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이 인증 없이 전상망에 침투할 수 있는 장치)가 의심된다는게 미국 측 주장이다. 이에 화웨이와 거래를 이어가던 구글 등 주요기업들은 연이어 거래 중단을 선언했다. 

미국의 제재는 중국 기업이 아니라도 중국에서 생산한 중국장비가 미국에 들어오는 것을 금지하겠다는 식으로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 정 교수는 “그간 정부는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의 줄임말)의 정책을 펴왔지만, 기업의 전반적인 중국 의존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실제 올초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은 1,622억4,000만달러(한화 약 182조3,000억원) 로 전체의 26.8%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2.0%p 상승한 것으로, 역대 최고치다. 중국 경제권인 홍콩까지 합치면 34.4%로 이전 최고 기록인 2015년 31.8%를 크게 웃돈다. 

이에따라 그는 생산과 유통의 위험을 분산해 중국 관련 거래를 다변화 할 것을 제언했다. 예컨대 생산기지를 베트남, 동남아, 인도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금융 위험을 달러 뿐 아니라 유로와 엔화로 분산 시키는 식이다. 아울러 유통 부문에서는 거래 다변화를 통한 위험 분산도 생각해볼 수 있다. 

뒤이어 그는 “미중 무역 분쟁을 극복하기 위한 처방이자,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 토대를 구축할 장기 전략으로서 개방경제 체제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시장 친화적 제도를 강화하는 일관성 있는 경제정책 전환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며 미중 무역 분쟁의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