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 100일을 맞았다. 그러나 5G 서비스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다. 업계와 고객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그래픽=이선민 기자
5G 상용화 100일을 맞았다. 그러나 5G 서비스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다. 업계와 고객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그래픽=이선민 기자

시사위크=최수진 기자  5G 상용화 100일을 맞았다. 통신사들은 관련 자료를 내고 그간의 성과를 공개했다. 그러나 고객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다. 시민단체의 5G 요금제 비판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 5G 100일, 그간 어떤 성과 이뤘나

11일,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4월 3일)한지 100일이 됐다. 5G 가입자는 최근 160만명을 돌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커버리지 역시 서비스 초기보다 확대됐다. 

통신사들은 5G 상용화 100일을 기념해 각각의 성과를 공개했다. 우선, KT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데이터를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업계 최초의 5G 데이터 완전 무제한 요금제 ‘슈퍼플랜’과 ‘5G 커버리지 맵’(서비스 가능 지역 지도) 그리고 5G 초능력 서비스를 공개했다”며 “전 세계 처음으로 5G 상용화의 포문을 열었다”고 전했다.

KT에 따르면 통신3가 가운데 KT의 5G 개통 기지국이 가장 많은 상황이다. 지난 8일 기준 실제 개통돼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수는 4만2,103개로 집계됐다.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 개통된 기지국은 2만8,249개다. KT는 “독도, 울릉도, 마라도에 이어 북쪽 최극단인 비무장지대(DMZ) 내 대성동에도 통신사 중 처음으로 5G 기지국을 설치했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자체 집계 결과 6월말 기준 LG유플러스의 5G 가입자 점유율은 29%를 넘겼다고 밝혔다. 5G 스마트폰이 출시된 4월부터 6월말까지 3개월 동안 번호이동 시장 신규 가입자 점유율 역시 LG유플러스가 약 31%(MVNO 제외)를 차지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의 일상생활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며 “5G 6대 서비스를 기반으로, 대형 팝업스토어를 설치해 5G 체험기회를 제공한 것이 주효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지난 4월 마곡사옥에 개소한 ‘U+5G 이노베이션 랩’은 3개월 동안 300여개가 넘는 기업들이 이용, 5G생태계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는 입장이다. 

◇ 1위 사업자 행보서 엿보는 ‘소비자 반응’

반면 시장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은 보도자료를 내지 않았다. 소비자 반응이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100일의 성과를 공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판단한 셈이다. 정부도 이 같은 분위기를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5G 품질, 킬러 서비스 등에 대한 소비자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5G 100일을 기념하기 위한 별도 행사는 준비하지 않았다.  

5G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냉담하다. 시장조사기관 두잇서베이가 지난달 말 5G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3개월 이내 5G 서비스를 사용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3%에 그쳤다. 응답자의 64% 가량이 최소 2년간 LTE폰을 사용하거나 5G 서비스를 사용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10명 중 6명 이상이 5G 서비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서비스 초기부터 현재까지 지적되고 있는 문제가 많은 탓으로 보인다. 우선, 충분하지 않은 5G 콘텐츠 문제가 대표적이다. 통신3사는 지난 4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과 같은 5G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을 감안해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관련 콘텐츠의 부재로 트래픽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이동전화 단말기별 트래픽 현황(5월 기준)’에 따르면 5G 스마트폰 사용자의 가입자당 평균 트래픽은 18.27GB다. 같은 기간 LTE 스마트폰 사용자 평균 트래픽(9GB)의 두 배 수준에 그쳤다.

아울러 5G 요금제에 대한 논란도 지속되고 있다. 시민단체는 3사의 유사한 5G 요금제 구조와 주력 요금제가 7만5,000원대로 설정돼 LTE 대비 상향한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원금, 가족결합 혜택 등이 고가요금제에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 차별이 심화됐다는 주장이다.

11일 참여연대는 “5G가 상용화 100일을 맞았다”며 “LTE 대비 4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지국 상황, 최저 5만5,000원부터 시작하는 고가요금제, 140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단말기, 그 고가 단말기를 0원으로 만든 불법보조금 경쟁, 완전무제한 데이터 허위과장광고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5G 세계 최초 상용화’라는 산업적 가치를 위해 130만명이 넘는 국민들에게 불완전한 서비스를 제공했다”며 “5G 서비스 상용화 100일을 맞아 5G 문제를 짚어봐야 한다.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세계 최초’가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저렴하며 차별 없는’ 통신서비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