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의 2차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추가 규제를 결정해서다. 다만, 업계의 피해가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의 2차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추가 규제를 결정해서다. 다만, 업계의 피해가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사위크=최수진 기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실적 부진과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달 규제 품목으로 결정된 소재 3종뿐 아니라 실리콘 웨이퍼, 이미지 센서 등도 추가 규제 품목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역시 일본 의존도가 높은 소재에 해당한다. 일각에서는 피해 규모가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업계의 긴장감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 추가 규제 품목, 어떤 소재 포함될까

일본이 한국에 대한 추가 규제를 결정했다. 지난 2일 일본 정부는 국무회의를 개최, 한국을 백색국가 목록에서 배제하는 내용의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전략물자 수출관리상 우대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기 위한 결정으로, 시행 시기는 8월 28일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으로 △실리콘 웨이퍼(반도체 원판) △이미지 센서 △메탈 마스크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실리콘 웨이퍼의 일본 의존도는 40~50%에 가깝다. 이미지 센서 역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50% 이상인 소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패널 생산에 사용되는 메탈 마스크의 경우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제품으로는 △반도체 장비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기타 개별소자 반도체 △반도체 장비부품 △실리콘 웨이퍼 △광학기기 부품 △평판 디스플레이 △인쇄회로 △동박 순으로 많았다. 이 가운데 대부분이 규제 항목으로 언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 일각선 피해 ‘미미’ 전망… 업계 관계자 “차질 없도록 노력 중”

다만, 지난달 언급된 소재 3종 대비 피해는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실리콘 웨이퍼, 이미지 센서 등의 경우 대체 불가능한 소재는 아니라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실리콘 웨이퍼의 경우 아주 기본 재료에 해당한다”며 “예를 들면, 도자기를 만들 때 필요한 ‘점토’에 해당한다. 점토가 없으면 도자기 자체를 만들지 못하듯 실리콘 웨이퍼가 반도체 생산에서 같은 역할을 한다. 다행히 관련 소재의 공급처는 다양한 편이다. 국내에도 관련 소재를 생산하는 곳이 있다. 1차 규제 발표 당시 언급된 소재에 비해 대체가 어렵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센서 역시 국내 업체의 기술력이 과거 대비 향상된 상태다. 삼성전자의 이미지 센서 기술력이 높아져 대체가 가능하다는 시각도 있다.

키움증권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전통적으로 카메라 중심의 차별화 전략을 추구해 온 과정에서 국내 생태계가 활발하게 발달해 있다”며 “이미지센서는 삼성전자가 집중 육성하고자 하는 비메모리의 핵심 품목이다. 제조공정이 D램과 유사하기 때문에 고사양으로 갈수록 공정 미세화 기술의 경쟁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규제 품목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가 나오지 않은 만큼 업계에서는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도 존재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략 물자에 어떤 소재가 포함될지 모른다”며 “추측만 나오고 있기 때문에 오는 28일 수출 신청을 해봐야 알겠지만 업계에서도 우선적으로 어느 정도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현황을 지켜보고 있다. 28일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거래선 다변화, 국내 제조사 접촉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