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됐던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됐던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오는 11월 25일부터 26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특별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가 준비하는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가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들과 획기적인 관계발전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신남방정책’을 발표하고 아세안 10개국 전부를 방문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공식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추진됐다. 지난 30년 동안의 관계 발전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30년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문 대통령이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통해 이를 제안했고 아세안 국가 정상들이 찬성하면서 성사됐다. 아세안 각국 정상과 대표단뿐만 아니라 부대 행사 등에 참여하는 양측 국민과 기업인들까지 포함하면 약 1만 명 이상의 대인원이 참여할 예정이다.

핵심 포인트는 한-아세안 교류협력 발전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를 계기로 신남방정책의 추진전략을 설명하고 아세안 정상들의 지지를 재확인할 방침이다. 2018년 기준 한-아세안 교역액은 1,600억불이 넘었고 이 가운데 베트남은 단일국가 기준으로 중국, 미국에 이어 3위 수출국이다. 이미 아세안은 생산공장 단계에서 미국과 중국 다음가는 거대 ‘소비시장’으로 성장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 등 주요국의 경쟁이 벌어지는 지역이기도 하다. 신남방정책은 사람 중심의 평화·상생번영을 모토로 내세워 미국·중국 등 강대국들과 차별화를 했다는 의미가 크다.

아울러 지역 및 국제적 이슈에 대한 정상 간 논의도 예정돼 있다. 자유무역질서에 대한 아세안의 의지표현이 가장 중요한 메시지가 될 전망이다. 미중 무역갈등을 비롯해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추세가 심화되고 있는 현 국제정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주요국들 간 패권다툼으로 피해를 받고 있는 우리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한-아세안 FTA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는 효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안보 현안과 관련해서는 김정은 위원장의 참석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아세안은 모두 북한과 수교를 맺고 있는 국가들로 이해관계가 적지 않다.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에서 참석할 경우, 아세안과의 접촉면을 늘릴 수 있고 북한 체제보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도 끌어낼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 김 위원장 초청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처음 제안한 바 있고 문 대통령과 청와대도 기대하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잘 풀린 다음'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북미 간의 대화가 잘 이뤄져야 하는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참여할지 여부에 대해, 또는 우리가 초청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북미 관계의 진전에 달려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