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도 자녀의 취업과 대학 입시 관련 특혜 의혹에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여당의 비판을 사고 있다. / 뉴시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도 자녀의 취업과 대학 입시 관련 특혜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여당의 비판을 사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소미연 기자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증인 채택에 대한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은데다 검찰 수사가 개시되면서 야당의 청문회 보이콧 빌미가 됐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검찰 강제수사가 진행되는 사건의 피의자를 청문하는 것이 맞느냐”에 대한 고민을 말하며 후보자의 자진 사퇴와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야당의 요구대로 청문회 일정을 수용한 여당으로선 답답한 상황이다.

특히 여당은 조국 후보자를 공격하는 선봉적 역할에 나경원 원내대표가 등장한데 대해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나경원 원내대표 또한 가족이 운영하고 있는 홍신학원과 딸의 대학 입시 과정을 둘러싼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다. 같은 당 황교안 대표의 경우 KT 특혜 채용 의혹으로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른 상태다. 따라서 “최소한 두 사람은 조국 후보자 자녀의 의혹에 대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는 게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의 주장이다.

◇ 스펙 없어도 입사, 성적 꼴찌여도 면접 최고점 ‘왜?’

실제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의 자녀 문제는 여당이 역공을 펼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다. 지난 2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국 후보자의 가족이 운영해온) 웅동학원과 딸에 대한 교육부의 조사가 요구된다면 나경원 원내대표의 홍신학원과 딸 입시 의혹도 함께 살피는 게 균형 잡힌 것”이라고 지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를 향해 “자신들을 둘러싼 각종 의혹부터 말끔히 해결하라”고 꼬집었다.

현재 황교안 대표의 아들에 관한 사건은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에서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형사6부는 같은 당 김성태 의원의 딸이 연루된 KT 채용비리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부서다. 수사 결과에 따라 파급력이 배가 될 수 있다. 고발장을 제출한 청년민주당은 “황교안의 아들이기 때문에 스펙이 없어도 입사를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혜 의혹은 입사 이후에도 이어졌다. 앞서 KT노조는 “KT마케팅 직군으로 입사한 2년차 직원(아들)이 어떻게 법무실로 발령이 날 수 있었는지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론 황교안 대표는 의혹을 부인했다. 도리어 “고발한 단체가 나중에 문제가 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수사 결과 무고로 밝혀질 경우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법적 소송에서 어느 쪽이 더 유리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딸의 성신여대 부정입학 의혹을 보도한 뉴스타파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나, 재판부가 손을 들어준 쪽은 언론사였다. 뉴스타파는 1심·2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여당에서 지적한 것처럼 나경원 원내대표는 지금까지 뚜렷한 해명을 한 적이 없다.

앞서 재판부는 나경원 원내대표의 딸 김모 씨가 2012년도 성신여대 현대실용음악학과 특수교육대상자 전형에 합격한 것과 관련 “응시생이 신원을 노출할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해 실격 처리한다, 반주가 필요할 경우 수험생이 준비해야 한다”고 단정적으로 보도한 부분을 문제 삼으면서도 “성신여대 장애인 특별전형과정이 급박하게 도입됐다는 점, 김씨가 입학한 이후 해당 전형으로 실용음악학과 학생을 선발하지 않았던 점”을 인정했다. 또 김씨가 응시대상자 21명 가운데 학생부 성적이 꼴찌였음에도 불구하고 최고점으로 합격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면접위원 4명이 똑같이 98점을 줬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했다. 김씨는 면접 과정에서 자신의 어머니를 나경원 원내대표라고 밝혔다.

결국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또한 자녀 문제에서 법적·도덕적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나경원 원내대표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딸의 부정입학 의혹에 대한 특검 요청이 제기돼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특검 도입 여부와 상관없이 의혹이 계속 회자된다는 게 부담이다. 조국 후보자를 잡으려다 자칫 생채기만 남길 수 있다는데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