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 찾기가 본격적인 비행에 돌입했다.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 찾기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아시아나항공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중대한 절차 하나를 마무리 지으며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당초 예상과 달리 ‘큰손’들이 잠잠한 가운데, 누가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 에어서울의 새 주인이 될지 주목된다.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증권은 3일 오후 2시를 기해 예비입찰을 마감했다. 인수 의사가 있는 주체들을 파악하는 절차이자, 인수전의 막이 오른 시점이다.

일반적으로 매각주체와 주간사는 예비입찰에 누가 참여했는지 공개하지 않는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다만, 인수 의사가 있는 기업들은 이를 공개하곤 한다. 경영에 있어 중요한 의사결정인 만큼, 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비입찰이 마감된 가운데,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파악되는 곳은 애경그룹, 사모펀드 KCGI, 그리고 미래에셋대우와 HDC현대산업개발(이하 현대산업개발)이다. 금융회사로서 항공사를 직접 인수하는 것이 불가능한 미래에셋대우는 재무적투자자로 현대산업개발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총 3곳이 인수전에 출사표를 던진 것이다.

당초 아시아나항공 매각 추진이 발표됐을 당시 거론됐던 대기업들은 모두 움직이지 않았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 기대되는 시너지효과와 자금력 등을 바탕으로 SK그룹, 한화그룹, 롯데그룹, GS그룹 등의 행보가 주목을 끌었으나 예비입찰 마감 시점까지 별다른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흥행에 실패했다는 평가도 일각에서 나온다. 여기엔 올해 들어 전반적 부진에 빠진 항공업계의 상황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삼파전 양상을 띠게 된 가운데, 인수전에 나선 각 주체들을 향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우선, 가장 먼저 인수 의사 타진에 나섰던 애경그룹이다. 애경그룹은 국내 LCC업계 선두주자 제주항공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FSC로서 노하우를 축적해온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 에어서울까지 한꺼번에 인수할 경우 곧장 ‘메머드급’으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약 2조원까지 예상되는 인수자금 부담은 우려의 시선을 낳는 부분이다. 현재 애경그룹의 규모 및 자금상황을 고려하면 금융권에서의 조달이 불가피한데, 이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추가 자금 투입 등도 필요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무리한 인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애경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의 노하우를 얻기 위해 인수전에 참가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매각 절차인 실사 등을 통해 같은 업계로서 ‘알짜 정보’만 빼내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진그룹과의 경영권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강성부 펀드’ KCGI도 공식적으로 인수전 참여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미 한진그룹의 유의미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나항공까지 인수해 항공업계 전반에 필요한 변화를 실행에 옮기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KCGI 역시 자금 확보 등에 물음표가 붙는다. 재무적투자자로 인수전에 나선 KCGI는 함께 손을 잡은 전략적투자자의 실체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가장 마지막에 출사표를 내민 미래에셋대우는 현대산업개발과 손을 잡고 막판 변수를 일으켰다. 현대산업개발의 경우 면세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항공산업과의 일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하지만 적잖은 자금부담은 역시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이날 인수전 참여가 공식화되면서 현대산업개발의 주가는 급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처럼 굵직한 대기업들이 인수전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누가 인수에 성공하게 될지 예측도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 또한 누가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이 돼도 업계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전망이다. 아울러 인수후보 모두 저마다 우려스러운 대목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자칫 매각이 불발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예비입찰을 마친 아시아나항공의 향후 매각 절차는 인수적격후보 선정, 실사, 본입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협상, 계약체결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중 다음단계인 인수적격후보 선정은 이달 내로 이뤄질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