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5월 발사한 미사일의 모습.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로 추정되고 있다. /노동신문-뉴시스
북한이 지난 5월 발사한 미사일의 모습.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로 추정되고 있다. /노동신문-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북한이 10일 오전 두 발의 발사체를 발사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발사체를 포착하고 대비태세를 갖췄고, 청와대는 정의용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NSC를 소집했다.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른 일반적인 프로세스다. 그런데 여느 때와 달리 국방부와 합참의 관련 브리핑에서 ‘정점고도’가 빠져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실제 합참은 “오늘(9.10.) 06:53경, 07:12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며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 km로 탐지하였으며, 추가적인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는데, 정점고도가 제외돼 있었다. 최대사거리와 정점고도를 밝혔던 이전의 브리핑 내용과 달랐던 대목이다.

이에 질의응답 과정에서 정점고도가 빠진 이유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다. 발사체의 재원, 궤적 등과 달리 고도는 추가적인 분석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우리 정찰자산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많았다. 무엇보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로 인해 한미 당국 간 공조에 구멍이 난 게 아니냐는 의심까지 나왔다.

국방부와 합참은 정찰자산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분석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해 설명했다. 지소미아 종료에 따른 영향이라는 질의에는 “확대해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정점고도에 대해서는 “파악하고 있다”고 했을 뿐, 정확히 밝히지는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에 대한 초기 탐지는 우리 대한민국이 갖고 있는 탐지사산이 좀 더 정확하고 또 충분한 정보탐지능력을 갖고 있다”며 “정밀하게 분석 중에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밝힌 재원은 비행거리까지 한 것이다. 그 부분에 대해 양해해달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조금 더 정교하게 분석을 하기 위해 한미 정보당국에서 분석 중에 있다”며 “여러 가지 정보자산들을 통해 파악은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