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택시 보급이 대폭 확대되고, 수소 택시가 시범운영에 돌입하는 등 친환경택시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뉴시스
전기택시 보급이 대폭 확대되고, 수소 택시가 시범운영에 돌입하는 등 친환경택시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미래 자동차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바로 친환경과 자율주행이다. 이는 전통적인 자동차의 특징을 완전히 뒤집는 것일 뿐 아니라, 우리 사회 및 일상의 풍경도 탈바꿈시킬 것으로 보인다.

미래 자동차 시대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와 밀접한 산업 중 하나인 택시도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도로 위 ‘친환경택시’의 존재감이 대폭 확대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일은 서울 친환경택시 역사에 있어 의미 있는 한 페이지가 됐다. 수소택시 10대가 시범운영에 돌입한 것이다. 국내에서 수소택시가 도로를 달리며 실제 영업에 돌입한 것은 ‘자동차의 도시’ 울산에 이어 두 번째다.

서울의 수소택시는 현대자동차의 넥쏘가 활용되며, 친환경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흰색과 하늘색으로 외관을 꾸몄다. 이용방법이나 요금은 일반택시와 다르지 않다. 서울의 수소택시는 오는 2022년까지 20대로 확대될 예정이며, 16만km 이상의 영업운행을 통해 핵심 부품 성능 검증 및 개선점 확인 등이 이뤄지게 된다.

전기택시 보급 역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100대 규모였던 전기택시 보급 시범사업을 올해는 3,000대 수준으로 대폭 확대했다. 서울시와 정부가 각각 900만원씩 총 1,800만원을 보조금으로 지원한다.

이처럼 본격적으로 발걸음을 뗀 친환경택시는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대기오염 감소다. 사실, 전기차 또는 수소전기차를 ‘완벽한’ 친환경 자동차로 보긴 어려운 측면이 있다. 전기를 생산해내는 과정까지 친환경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자동차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수소전기차의 경우, 운행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공기청정기 역할까지 한다. 서울에만 7만여대의 택시가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친환경택시 확대는 대기오염을 대폭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다. 택시업계가 지니고 있던 한계를 해소하는 계기 또한 될 수 있다. 현재 대다수 택시 차고지는 서울 외곽 지역에 자리해있으며, 이로 인한 비효율과 문제점이 적지 않았다. 교대를 위해 이동하는 시간 및 거리가 상당하다보니 기사들은 운행효율성이 떨어졌고, 승객들은 도심에서 택시잡기에 애를 먹곤 했다. 또한 택시회사들은 위치 문제로 인해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친환경택시는 그 특성상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요인을 지니고 있다. 충전 시간을 교대에 활용하는 것이다. 한 택시업계 관계자는 “전기택시 등은 1회 충전거리와 충전에 드는 시간이 한계다. 하지만 이를 교대와 연계하면 오히려 기존의 문제를 해소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친환경택시 시대를 안착시키기까지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아직은 부족한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충전인프라가 대표적이다. 현재 보급된 전기택시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대략 300km대다. 택시의 평균 주행거리와 상대적으로 연비가 낮을 수밖에 없는 도심 주행여건 등을 감안하면, 2~3배는 확대돼야 원만한 택시 운행이 가능하다. 충전소 숫자와 충전에 드는 시간 역시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현재도 보조금 등이 지원되고 있지만, 애초에 전기차 가격대가 높고 감가상각 문제까지 고려하면 부담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택시업계 관계자는 “보조금 외에도 다양한 혜택 등을 마련해야 전기택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서울시 전기택시 보급사업에 대한 반응이 다소 썰렁한 점은 이러한 과제가 남아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대목이다. 지난 6월 진행된 1차 모집은 441대가 신청하는데 그쳐 올해 목표치인 3,000대의 15%도 채우지 못했다. 서울시는 내년 목표치로 8,000대를 설정해둔 상태다. 이러한 계획이 허황된 목표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선 성능 및 인프라 확대와 더불어 각종 지원 방안 등 제도적 강화도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