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주류가 자사 브랜드와 관련한 의혹성 게시물에 대해 법적 대응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종규 기자  일본발 수출규제로 인한 불매운동으로 국내 기업들은 이른바 ‘일본 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 가운데, 롯데칠성음료의 주류 사업부문인 롯데주류는 자사 브랜드인 ‘처음처럼’, ‘클라우드’ 등이 일본 브랜드라는 의혹에 법적 대응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이에 <시사위크>는 롯데칠성음료와 일본과의 관계 여부를 팩트체크한다.

팩트체크 1.  
‘처음처럼은 일본 브랜드… 마시면 일본아사히가 수혜’ → (검증) 사실 아님

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주류는 지난 2일 ‘일본 아사히가 롯데주류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처음처럼을 마시면 일본아사히가 수혜를 본다’ 등의 게시물을 모니터링한 결과, 20여건의 게시물에 대한 고소·고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불매운동이 시작된 후 기업이 공식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롯데주류는 줄곧 국내 기업임을 강조해왔다. 롯데주류는 불매운동 및 브랜드 논란이 커지자 지난 8월 공식 입장을 통해 “롯데주류는 롯데칠성음료의 주류 부문으로 2,500명 직접 고용을 창출하고 있으며 소주, 맥주, 청주 등 제품 전량을 국내 7개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며 “처음처럼은 대한민국 소주 역사의 한 주축을 담당해 온 대한민국 소주 브랜드”라고 밝혔다.

소문의 근간은 아사히 맥주 등 일본 맥주를 수입해 국내에 유통하는 ‘롯데아사히주류’에서 비롯된다. 롯데아사히주류의 지분을 일본의 아사히그룹홀딩스와 롯데칠성음료가 각각 지분 50%씩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다.

이에 ‘롯데주류의 제품이 일본 제품’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롯데주류가 법적 대응에 나선 대목도 이 부분이다. 하지만 롯데아사히주류가 국내에 유통하는 제품은 아사히 등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제품에 국한된다.

즉 국내에서 아사히 맥주가 많이 판매될수록 아사히그룹홀딩스와 롯데칠성음료의 실적이 상승하는 것이다. 세간의 의혹처럼 ‘처음처럼’ ‘클라우드’ 등 롯데주류 브랜드의 매출이 일본아사히그룹홀딩스의 수혜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팩트체크 2. 
롯데칠성음료는 일본기업? → (검증) 판단 유보, 단정은 ‘무리’

우선 ‘처음처럼을 마시면 일본아사히가 수혜를 본다’는 의혹은 지분 구조상 사실이 아니다. 하지만 롯데칠성음료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회사 자체가 일본과 무관하지는 않아 보인다.

롯데칠성음료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26.54%를 보유한 최대주주 롯데지주를 비롯해 롯데알미늄(8.87%), 롯데장학재단(6.28%), 호텔롯데(5.92%) 등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지분구조 상 일본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주요 주주들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일본 주주들이 심심찮게 등장한다. 우선 3대주주인 롯데알미늄은 일본㈜L제2투자사가 지분 34.92%를 보유하고 있고, 일본 광윤사 또한 22.8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 지분 5.92%를 보유한 5대주주 호텔롯데 또한 일본 주주들이 지분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호텔롯데의 최대주주는 지분 19.07%를 보유한 일본롯데홀딩스다. 여기에 일본㈜L제사4투자사(15.63%), 일본㈜L제9투자사(10.41%)를 비롯한 일본 계열사들이 지분 99%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가 배당을 실시할 경우 일본 주주들이 지분을 보유한 회사에 배당이 돌아가는 셈이다. 롯데칠성음료는 2015년 66억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한 데 이어 이듬해에는 124억원을 현금배당했다. 이어 2017년 135억원, 지난해 270억원과 올해 221억원의 현금배당을 공시한 바 있다.

하지만 롯데그룹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롯데지주가 롯데칠성음료의 최대주주이고, 롯데지주가 사실상 신동빈 회장의 지배 하에 있다는 점에 롯데칠성음료 자체를 일본기업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국내 공공기관인 국민연금 또한 지분 9%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롯데주류는 향후에도 악성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강경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롯데주류 관계자는 “롯데주류가 대한민국 기업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려 임직원들의 명예를 지키고 악성 허위사실 유포자들에 대한 강력한 대응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