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 삼성디스플레이 사업장에서 열린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에 참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참석자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앞줄 왼쪽세번째부터 양승조 충남지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문 대통령, 이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 삼성디스플레이 사업장에서 열린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에 참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참석자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앞줄 왼쪽세번째부터 양승조 충남지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문 대통령, 이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삼성과 LG, 양대 디스플레이 업체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에서 점차 손을 떼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발 LCD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경쟁에서 벗어나 기술 격차를 벌리기 위해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10일 2025년까지 아산1캠퍼스에서 세계 최초 퀀텀닷(QD)디스플레이 생산시설 및 연구개발에 대한 총 13조1,00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의 방향을 기존 LCD에서 ‘QD 디스플레이’로 전환하고 ‘QD 디스플레이’ 양산 라인인 ‘Q1라인’을 구축할 방침이다. 신규 라인은 오는 2021년부터 8.5세대 기준 3만장 규모로 가동을 시작해 65인치 이상 초대형 QD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QD 신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기존 LCD 분야 인력을 QD 분야로 전환 배치하고, QD 재료연구와 공정개발 전문 인력도 신규 채용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이에 앞서 이미 세계에서 유일하게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양산 기술을 확보했다. 2015년 11월 신규 공장 건설 및 일부 설비를 위해 1조8,400억원의 투자를 시작하고, 2017년 7월 월 3만장 생산을 목표로 2조8,000억원의 선행투자를 결정하면서 OLED 하판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경기 파주에 이어 지난 9월부터 중국 광저우에서 양산을 시작했고, 10.5세대 라인 추가를 위해 파주에 3조원을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 

삼성과 LG 등 국내 기업들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역량을 집중하는 이유는, 한국산보다 최소 20% 싼 중국의 물량 공세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10.5세대 라인에서 65인치 패널을 8장 만들지만, 삼성이나 LG디스플레이는 8.5세대에서 3장의 패널을 만든다. 만들수록 적자를 면키 어렵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삼성과 LG디스플레이는 올해 1분기에 각각 5,600억원과 1,300억원의 적자를 냈다. 

현재 글로벌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도권자는 중국의 BOE다. BOE는 IHS 마킷이 발표한 올해 1월LCD 시장 점유율에서 22.3%를 기록했다. 10여년 넘게 1위를 지키던 LG디스플레이(21.6%)는 2위로 밀려났고, 삼성(9.9%)은 5위 수준이다. 결국 양사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은 LCD로는 더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0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함께 충남 아산캠퍼스에서 열린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에 참석, ‘디스플레이 강국’ 유지를 위해 7년간 4,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전방위로 지원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산업을 OLED 중심으로 재편해 세계시장에서 압도적 1위를 지키겠다는 각오로 과감한 투자를 결정했다”며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디스플레이 제조 강국으로 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이 부회장 역시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디스플레이 제조강국을 만들자는 (대통령의) 말씀은 저에게 큰 힘이 됐다”면서 “외부의 추격이 빨라질수록, 그 도전이 거세질수록 끊임없이 혁신하고 더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