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의 제품 관련 불법행위 적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주유소의 제품 관련 불법행위 적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소비자들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주유소의 불법행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주유소 업계 1위에 빛나는 ‘SK주유소’가 압도적으로 높은 적발건수를 기록하며 체면을 구겼다. 각 주유소의 의식 개선 외에는 달리 방도가 없다는 게 업계의 반응이지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오는 만큼 정부 및 본사 차원의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조배숙 의원이 한국석유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가짜석유 ▲품질부적합 ▲등유를 자동차 연료로 판매 등의 불법행위로 적발된 건수는 2014년 339건에서 2015년 397건, 2016년 494건, 2017년 524건, 2018년 584건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 중 SK, GS, 현대, 에쓰-오일 등 4대 대기업의 간판을 단 주유소의 적발 건수는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소비자들의 믿고 찾는 대기업 브랜드지만, 정작 그 실체는 기대를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 4대 정유사 불법행위 적발 절반은 SK주유소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적발 건수를 기록한 것은 SK주유소다. SK는 SK네트웍스가 직영 주유소를 운영 중이고, SK에너지가 가맹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 숫자는 전국적으로 약 3,600여개에 달하며, 업계에서 가장 많다. 현재 전국의 주유소 숫자는 약 1만1,500여개로 파악된다.

그런데 SK주유소의 불법행위 적발 건수는 업계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 이상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대 정유사의 가짜석유 적발 건수는 113건이었는데 SK주유소가 46건을 차지했고, 품질부적합은 4대 정유사 합계 276건 중 134건이 SK주유소의 적발 건수였다. 이보다 앞선 2017년에도 4대 정유사 총 적발 건수 대비 SK주유소 적발 건수가 가짜석유는 135건 중 55건, 품질부적합은 236건 중 11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양상은 올해도 마찬가지다. 8월까지 4대 정유사 가짜석유 적발 건수가 17건인데, 이 중 5건이 SK주유소였고, 품질부적합은 183건 중 101건이 SK주유소였다.

그렇다면 유독 SK에너지의 적발 건수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SK에너지 관계자는 “전반적인 업계 현황 대비 SK주유소의 적발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맞다”며 “아무래도 영세한 지방 가맹점이 비교적 많은 점이 반영된 것으로 에상된다”고 말한다. “판매가 저조해 재고 처리가 더디거나, 품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주유소가 주로 적발된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아울러 SK에너지 관계자는 “제품을 공급하는 본사 입장에서는 뚜렷한 방도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품질 기준 준수에 대한 안내와 교육, 품질 검사 등을 꾸준히 진행 하지만, 개별 사업장의 경영문제인 만큼 직접적인 개입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SK주유소만의 문제도 아니다. 각 정유사들이 철저히 품질 기준에 맞는 제품을 공급하더라도 개별 주유소 차원의 품질 확보 및 유지까지 장담하긴 어렵다. 시세에 따라 재고를 쌓아두거나, 제품을 섞어 판매하는 일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피해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돌아온다는 점이다. 앞서 살펴본 대로 주유로의 제품 관련 불법행위 적발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주유소 숫자가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임을 감아하면, 그 실태는 더욱 심각하게 다가온다.

이에 정부 및 대기업 공급사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품질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과 함께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비자들은 대기업 브랜드를 신뢰하고 주유소를 찾는 만큼, 신뢰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문제에 있어 공급사들 또한 보다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조배숙 의원은 “해마다 반복되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주유소의 불법행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한국석유관리원은 주유소 불법행위 근절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며, 특히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품질부적합 주유소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