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신컨소시엄의 전기차 생산공장으로 바뀔 GM 군산공장. /뉴시스
명신컨소시엄의 전기차 생산공장으로 바뀔 GM 군산공장.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군산·새만금 산단에 중견·벤처기업 중심의 전기차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양대노총을 비롯한 노사민정이 공동노력의 기반 위에 마련된 상생형 지역 일자리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와 전라북도에 따르면, 군산 전기차 클러스터에는 명신 컨소시엄과 새만금 컨소시엄이 참여한다. 명신 컨소시엄은 명신과 MS오토텍 등으로 구성돼 GM군산공장 부자에 약 2,675억원을 투자한다. 2022년까지 SUV 등 전기완성차 12만대 생산이 목표다. 새만금 컨소시엄은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등으로 구성돼 새만금산단 제1공구에 1,447억원을 투자한다. 2022년까지 버스와 트럭 등 전기완성차 5만7,000대를 생산할 예정이다.

군산형 일자리의 의의는 크게 세 가지다. 대기업 중심인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중소·중견기업 간 수평적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점. 지자체 합작법인을 만들었던 광주형 일자리가 아닌 민간 주도적 투자여서 빠른 성과가 기대된다는 점. 민주노총 지부가 거버넌스 단계부터 직접 참여하는 등 노사민정이 상생형 일자리에 의지가 크다는 점 등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군산형 일자리가 GM 군산공장 폐쇄 공백을 채우는 것을 물론이고, 지역상생형 일자리의 성공모델로 자리 잡기를 기대하고 있다. 양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1,900명을 직접 고용해 GM 폐쇄로 인해 사라진 제조업 일자리 2,868개를 대체할 전망이며, 군산지역 유휴공장과 자동차 관련 인프라를 전기차로 재생할 예정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기차는 내연기관과 달리 완성차 중심의 수식적 계열 관계가 아니고 수평적인 협력 관계가 가능한 모델”이라며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고질적인 문제 중의 하나인 원․하청 간의 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수평적인 협력 생태계가 가능한 모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양대 노동계를 이루고 있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지역지부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생의 요소가 특히 더 의미가 있다”며 “(군산형 일자리는) 정부가 추진했던 상생형 지역 일자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