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대상이 될 부실징후기업이 올해 210곳으로 집계됐다. /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구조조정 대상이 될 부실징후기업이 올해 210곳으로 집계됐다. 부실징후기업 가운데 중소기업 수는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에 직격탄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기업 210곳(C등급 59곳, D등급 151곳)을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190곳)보다 20곳이 증가한 규모다.  

부실징후 기업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의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부실징후 기업 수는 대기업의 경우 9곳으로 전년보다 1곳 줄었다. 2015년 이후 대기업의 경우, 부실징후기업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2015년에는 54곳에 달했지만 올해는 한 자리 수에 그쳤다. 이에 대해 금감원 측은 “주요 업종 구조조정 마무리 등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이 지난해 크게 감소한 후 올해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중 중소기업은 201곳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21곳 늘어난 수치다. 이에 전체 부실징후기업 내에서 중소기업 비중도 매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부실징후기업 중 중소기업 비중은 2015년 76.4%에서 올해 95.7%로 늘어났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35곳), 부동산(19곳), 자동차부품(17곳), 금속가공(17곳), 도매‧상품중개(14곳) 순서로 많았다. 특히 기계 장비 업종은 전년 20곳에서 35곳으로 15곳이 늘어났다. 전반적인 업황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00억원으로 집계했다. 은행권이 2조4,000억원으로 대부분(72.7%)을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1,735억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금감원은 현재 은행권의 손실흡수 능력 등을 감안할 시,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서 워크아웃․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 및 부실정리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지만 워크아웃 등 관리절차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토록 지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