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노동신문 캡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노동신문 캡쳐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우려됐던 북한의 크리스마스 군사 도발은 없었다.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들의 보도는 일상적이었고, 올해 말에 개최하기로 했던 노동당 전체회의 등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북미협상의 판 자체를 깨지 않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아울러 23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된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대화를 통한 해결’에 주변국들이 한 목소리를 낸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군사적 도발 가능성을 암시하는 북한의 이른바 ‘크리스마스 선물’은 지난 3일 리태성 외무성 부상의 표현에서 시작됐다. 리 부상은 “다가오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무엇으로 선정하는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에 달려있다”며 새로운 계산법을 미국에 거듭 요구했다.

미국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끈 예고성 도발도 있었다. 7일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에서 1단 로켓시험이 있었고, 13일에는 2단 로켓시험을 강행했다. 북한은 “중대한 시험 성공”이라고 자축하며 미국을 압박했다. 연말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과 같은 대형도발을 할 수 있다는 엄포성 신호였다. 국내외 북한 전문가들 다수는 김정은 위원장이 ‘새로운 길’을 표방하고 연말 미사일 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분위기가 다소 바뀐 것은 박정천 북한 인민군 총참모장의 담화문이 나오면서다. 그는 “새로운 기술들은 미국의 핵위협을 확고하고도 믿음직하게 견제, 제압하기 위한 또다른 전략무기 개발에 적용되게 될 것”이라면서도 “미국을 비롯한 적대 세력들은 우리를 자극하는 그 어떤 언행도 삼가야 연말을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자극하지 않는다면, 연말 도발은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일종의 퇴로를 열어 놓는 것으로 해석됐다.

25일 tbs라디오에 출연한 정세현 전 장관은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조용히 보내도록 해 주겠다는 이야기고 (미사일을) 안 쏘겠다는 것”이라며 “더구나 뒷부분에서 ‘우리는 대화도, 대결도 낯설어하지 말아야 된다’는 표현을 썼다. 군인이 대화를 낯설어하지 말아야 된다는 얘기는 특이한 것이다. 역시 판을 안깨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중일 정상들이 한 목소리로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우리는 다함께 대화와 협상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에 일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중국까지 대화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북한이 마냥 외면할 수는 없었을 것이란 분석이 가능하다.

다만 연말 당 전체회의와 내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전후에 도발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다. 미국도 정찰자산을 동원해 북한에 대한 감시를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국은 24일과 25일 양일 간 글로벌 호크와 리벳 조인트 등 각종 정찰기 4대를 한반도 상공에 전개했다.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은 “(미사일 압박이) 상당히 효과가 있었다. 그걸 계속 끌고 가서 기싸움을 더 이어 갈 것이고 2~3월까지는 기회가 있다”면서도 “영원히 안 쏠 거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오판이라고 본다. 2~3월까지는 더 상황을 지켜볼 것이고 그 사이 엔진시험 등 작은 도발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