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인선 절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경영 공백이 발생한 지 한 달째에 접어들었다. 김성주 전 이사장이 사표를 내고 떠난 뒤, 국민연금은 기획이사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각종 경영 현안을 마주하고 있는 만큼 발 빠른 인선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까진 인선 절차와 관련된 구체적인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어 경영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진 모습이다.  

김성주 전 이사장은 총선 출마를 위해 지난달 7일자로 퇴진했다. 이에 따라 현재 박정배 국민연금 기획이사가 이사장직 대행을 수행하고 있다.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이 되고 있지만 리더십 공백을 메우긴 어려운 실정이다. 주요 의사 결정에 있어 직무대행 체제로는 한계가 있어서다. 

국민연금 이사장은 국민 노후자금 700조원을 책임지는 자리다. 이에 하루빨리 공백이 메워져야 하지만 아직까진 인선과 관련된 본격적인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신임 이사장 공모 절차는 국민연금이 임시이사회를 열어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를 구성하고, 공모를 진행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임추위는 5~15인 이내로 구성되고 외부위원이 3분의 1 이상 포함돼야 한다. 

이후 임추위가 서류와 면접심사를 통해 3∼5배수의 후보자를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추천하면 복지부 장관이 이 중 한 명을 대통령에게 임명 제청한다.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선임을 결정하면 모든 인선 절차가 종료된다. 여러 절차를 거치는 만큼, 빠르게 진행이 된다고 하더라도 공모부터 선임까지 두 달 이상의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그런데 일각에선 인선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총선을 앞두고 정부 주요 공직자와 공공기관 기관장들은 줄줄이 사의를 표명했다. 비어있는 공백을 채워하는 자리가 상당한 만큼, 인선 절차가 발 빠르게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연금은 앞서 김성주 전 이사장이 선임되기까지 10개월 이상의 경영 공백을 겪었던 전례가 있다. 당시 리더십 공백으로 국민연금은 주요 정책 추진에 있어서 상당한 난항을 겪었다. 이번에도 이사장 공백이 장기화된다면 정책 추진에 있어 상당한 업무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인선 작업이 안개 속에 휩싸인 가운데 차기 이사장 후보로는 여러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중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 등 정부 인사들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인 김 사회수석은 연금 분야 전문가로 꼽히는 인사다. 그는 지난 대선에서도 문재인 캠프의 싱크탱크인 ‘정책 공간 국민성장’에서 복지팀장으로 복지 공약 마련을 주도한 바 있다. 이외에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차기 이사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