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서울로 유출되는 인구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뉴시스

시사위크=서종규 기자  탈(脫)제주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2015년 이후 제주에서 서울로의 인구 유출 건수가 차차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0년만에 제주와 서울의 순이동 건수가 뒤집혔다. 특히 이같은 탈(脫)제주 현상은 제주 내 아파트값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직방이 통계청의 인구이동 통계 자료를 이용해 제주와 서울의 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에서 서울로 총 10명이 순이동했다. 이는 2009년 623명이 서울로 순이동 한 후 처음으로 서울로의 전출인구가 더 많은 것이다.

2010년 이후 은퇴노년층의 제주살이와 더불어 국제학교 입학을 위한 강남권 거주자의 제주 이전이 하나의 트렌드로 잡아가며 서울에서 제주로 인구가 순유출되는 모습이 지속됐다. 특히 중국자본의 대거유입으로 제주 내 건설경기가 활성화되고 유관산업도 파생됐고, 실제 2015년 2000년 이후 최고치인 4,083명의 순유입이 발생하기도 했다.

탈 제주 현상이 제주도 내 아파트값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000년~2019년 서울→제주 인구 순이동 추이./직방
탈 제주 현상이 제주도 내 아파트값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000년~2019년 서울→제주 인구 순이동 추이./직방

하지만 사드(THAAD)사태 이후 발효된 한한령, 주택가격 상승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중복되며 점차 순유입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 2015년 강남3구에서 총 1,059명이 제주로 순유출 됐지만, 지난해에는 18명이 제주로 순유출 되는 데 그쳤다.

서울로의 순유출 증가는 제주 내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15년 연간 최고 13.78%까지 상승했던 제주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지난해 -3.66%를 기록하며 전국평균(-1.43%)을 밑돌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제주 관광산업의 부진과 인구유입 감소로 주택수요 확대에 한계가 있는 상황인 만큼 제주 아파트 시장의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제주 내 아파트 가격의 상승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수도권으로부터 유입된 자금과 수요가 다시 외부로 유출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주2공항 건설이슈가 존재하고, 한한령 해제 등 긍정적인 요인도 남아있지만, 아파트보다는 토지시장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으며 단기간 내 제주아파트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