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화 민생당 공동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유성엽·박주현 공동대표는 불참했다. /뉴시스
김정화 민생당 공동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유성엽·박주현 공동대표는 불참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호영 기자  9일 민생당 최고위원회의가 당 출범 후 처음으로 파행했다. 바른미래당·대안신당·민주평화당 등 3당이 총선을 앞두고 우여곡절 끝에 합당을 이뤄냈지만, 지도부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출범 2주 만에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최고위 파행의 주 이유는 소상공인 등 외부 세력 통합과 관련한 지도부 이견이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현역 비례대표 재선을 사실상 봉쇄한 내부규정 제정에 불만을 품은 일부 지도부가 외연 확장을 핑계로 최고위를 의도적으로 보이콧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민생당 최고위원회를 구성하는 지도부는 바른미래당계 김정화 공동대표·이인희 최고위원, 대안신당계 유성엽 공동대표·황인철 최고위원, 민주평화당계 박주현 공동대표·이관승 최고위원 등 6명이다.

그러나 이날 최고위에는 김정화 원내대표와 이인희 최고위원, 황인철 최고위원만 참석했다. 반면 유성엽·박주현 공동대표와 이관승 최고위원은 불참했다. 최고위 안건으로 오른 선거대책위원회·공천관리위원회 발족·당헌당규 재개정 의결은 정족수 미달로 연기됐다.

지도부간 분란을 촉발한 것은 민생당 당헌당규 재개정안의 비례대표 재선 봉쇄조항으로 알려졌다.

당 선거기획단은 당헌당규에 현역 비례대표 후보 재추천을 원칙적으로 배제하기로 했다. 다만 ‘공관위 판단으로 그렇지 아니할 수 있다’는 취지의 단서를 달아 재선 비례를 완전 봉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현역 비례대표 의원들은 해당 조항 자체에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고 한다.

민생당 선거기획단 관계자는 이날 <시사위크>와 통화에서 “현역 비례대표인 박주현 공동대표의 최고위 불참은 비례대표 재선 불가 방침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 아니겠나. 결국 당헌당규 재개정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당 대표가 비례대표를 한번 했으면 당에 헌신하고 봉사할 생각을 해야하는데 유감스럽다”고 했다.

이와 관련, 박 공동대표는 통화에서 “민생당은 3당 합당으로 만들어진 새 당인데, 애초에 (비례대표) 문을 닫아버리는 것은 합의 정신에도 어긋난다고 생각한다”며 “열심히 활동해왔던 비례의원들이 그 자체로 모욕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비례대표 재선 출마 여부에 대해 박 공동대표는 “일단 기회가 열리면 그때 생각해볼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박 공동대표는 이날 최고위 보이콧 자체는 비례대표 봉쇄조항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평화당 시절부터 추진해왔던 소상공인 중심 정치단체와 통합 협상을 마무리했는데, 정작 바른미래당계에서 통합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에 보이콧 결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그는 “외부 세력과 후속통합을 이룬다는 것이 3당 통합 정신이었다. 소상공인 공동대표와 최고위원을 줄 수 있다고 했는데 (바른미래당계가) 거절해서 최고위원만 올렸더니 단체 전수조사를 요구했다”며 “바른미래당 쪽은 후속통합 의지가 전혀 없다는 것을 알았다. (3당) 공동대표가 무의미해졌다고 판단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바른미래당계 민생당 관계자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바른미래당계 민생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3당 합당으로 당직자 과포화 현상이 일어나서 희망퇴직을 받았는데 소상공인 단체 당 대표, 최고위원과 당직자들을 더 데려오자는 평화당 쪽 주장에 어이가 없었다”며 “이제와서 소상공인은 핑계에 불과하고 비례대표를 한번 더 하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박 공동대표 측에서 소상공인 세력 당원들이 많다고 하니 전수조사를 하자고 했다”며 “알아본 바에 따르면 실체가 분명하지 않으니 신중하게 접근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공동대표는 소상공인 세력과 후속통합에 난색을 표하는 김정화 공동대표를 비롯한 바른미래당계를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민생당 지도부가 조속한 시일 내에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내홍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