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가 들은 권리자 음원에 요금 정산… 상반기 VPS 도입
음원 업계, 비례배분제 허점은 인정… 도입 의지는 ‘글쎄’

네이버 바이브가 올해 상반기 새로운 정산방식 시스템 'VPS'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관련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바이브
네이버 바이브가 올해 상반기 새로운 정산방식 시스템 'VPS'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관련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바이브

시사위크=송가영 기자  네이버 바이브가 새로운 방식의 음원 사용료 정산방식을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음원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음원 시장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되며 정착시킨 기존의 정산방식을 유지할지에 대한 논쟁도 재점화될 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바이브가 도입하기로 한 새로운 정산 방식 ‘VPS(Vive Payment System)’은 바이브 이용자가 낸 스트리밍 요금이 이용자가 실제로 들은 음악의 저작권자에게만 전달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현재는 바이브를 포함해 멜론, 지니뮤직, 벅스, 플로 등 국내 음원 플랫폼 사업자들은 전체 음원 재생 수에서 특정 음원의 재생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해 음원 사용료를 정산하는 방식인 ‘비례배분제’를 적용하고 있다. 

비례배분제는 국내외 음반 시장이 스트리밍 서비스로 넘어오면서 한국저작권협회(이하 협회), 권리자, 이용자, 플랫폼 사업자 등이 합의하에 도입한 정산방식이다.

바이브는 비례배분제가 이용자와 권리자에게 합리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유리한 일방적인 정산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유료 서비스 이용자가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는 음원을 듣지 않아도 음원 사용료는 대부분 차트 상위권을 차지한 권리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비교적 주목을 받지 못한는 인디아티스트들의 음원은 저평가되고 그만큼 이들의 수익도 줄어드는 구조다.

이 때문에 해외 음원 플랫폼 사업자들도 비례배분제 정산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도 이용자의 스트리밍 요금이 실제로 들은 권리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의 도입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 바이브의 설명이다. 음원 정산방식과 얽히면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음원사재기’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고도 주장한다.

바이브는 음원사 및 유통사 등 유관 기관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관련 시스템 구축 등을 완료한 후 상반기 중으로 VPS를 정식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바이브 관계자는 “음원 산업 자체가 많은 이해관계들이 얽혀있어 VPS 도입이 쉽지 않은 길임에는 틀림없다”며 “현재의 비례배분제에서 제기되는 문제점들을 모두 보완할 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개선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는 바이브가 도입할 새로운 정산방식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다. 비례배분제의 문제점을 인정하면서도 상반기에 도입되기에는 넘어야할 과제들이 산적해있다고도 지적한다.

먼저 새로운 정산방식 도입으로 발생할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 만큼 특정 플랫폼 사업자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새로운 정산방식 도입을 위해 다른 음원 플랫폼 사업자, 협회, 권리자, 이용자간 논의가 100% 완료된 것이 아닌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바이브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에서 반대하는 입장이 나오면 사실상 도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한 관계자는 “각 사업자들마다 고민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고 유관 기관에서도 논의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음원사재기를 완화할 수 있는 수단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음원사재기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특정된 것이 없는 상황이고 VPS가 오히려 다른 문제를 가져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익명의 관계자는 “비례배분제도 당시 허점이 없다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모두 동의해서 도입된 것임에도 이런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바이브가 도입하려는 시스템이 음원사재기를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다만 비례배분제에 대한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고 정산방식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만큼 새로운 정산방식을 도입하기 앞서 다수의 권리자, 이용자들의 목소리가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업계는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정산방식을 바꾸는 시도나 음원사재기 등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행보지만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권리자, 이용자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권리자들의 의견이 다수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