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심각한 경영위기를 마주하고 있는 가운데, 탈원전을 둘러싼 논쟁도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두산중공업 홈페이지
두산중공업이 심각한 경영위기를 마주하고 있는 가운데, 탈원전을 둘러싼 논쟁도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두산중공업 홈페이지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간절히 호소합니다.”

지난 24일, 두산중공업 노조가 창원상공회의소와 함께 발표한 호소문의 제목이다. 이들은 “산업생산의 중심지인 창원지역이 주력산업 수요 한파로 몸살을 앓고 있다”며 “창원의 주력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280여개 원전 관련 기업과 1만3,000여명의 노동자들은 일감절벽으로 생존마저 위협받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에너지 정책 기조를 전환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통해 시간을 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최근 심각한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6년 연속 거듭된 적자행진 속에 지난달 명예퇴직을 단행했고, 이달 들어서는 휴업까지 검토 중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까지 덮치면서 상항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두산중공업 위기의 원인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에교협)’는 지난 18일 성명을 통해 “불법으로 중단했던 신한울 3·4호기 공사를 재개해 두산중공업의 휴업을 끝내고 창원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산중공업 노조 및 창원상공회의소의 호소문과 맥락이 같다.

앞서 두산중공업의 명예퇴직 단행 소식이 전해졌을 때도 그 원인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지적에 맞서 정부는 이례적으로 강도 높은 해명 입장을 발표했다. 두산중공업의 전체 사업에서 국내 원전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으며, 2017년 에너지전환 정책 시행 이후에도 한국수력원자력이 두산중공업에 지급한 금액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두산중공업의 경영위기는 글로벌 발전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와 적절한 대응 실패에 있다고 반박했다. 두산중공업의 실적 하락세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해 탈원전 정책을 실행에 옮기기 전인 2014년부터 시작됐다는 설명이다.

반면 에교협은 정부의 이러한 반박에 대해 “억지·궤변”이라며 “두산중공업의 위기는 정부가 맹목적으로 밀어붙인 탈원전·탈석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 역시 “갑작스러운 계획 변경으로 인한 타격이 없을 수 없다”며 두산중공업의 위기가 탈원전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치열한 갑론을박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두산중공업의 위기와 탈원전 사이의 상관관계는 바라보는 시각 및 제시하는 근거자료에 따라 서로 극명한 대치를 이룬다. 무엇보다 두산중공업이 위기로부터 당장 벗어나기 힘들 뿐 아니라, 상황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탈원전 원인’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