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최근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 앱 이용시간이 전보다 크게 늘어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운동이 지속되면서 실내 활동이 급증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마케팅·빅데이터 분석 전문기관 NICE디앤알은 14일 자사의 모바일 앱 분석 서비스 앱마인더에서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앱 로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1월 넷째 주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평균 앱 이용시간은 26시간 22분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 증가세가 절정에 달했던 3월 첫째 주에는 앱 이용시간이 30시간 46분으로 4시간 24분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확진자 수가 100명대로 둔화된 3월 셋째 주에는 30시간 32분으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NICE디앤알이 자체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 601명 가운데 80% 이상이 코로나19 이후 특정 앱 이용량이 늘었다고 답했다. 특히 배달 앱의 이용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은 식음료 배달(51.8%) 앱 이용량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실제로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1월 넷째 주 ‘배달의 민족’의 주당 이용자 수는 532만7,000명에서 3월 셋째 주 623만3,000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요기요’역시 275만5,000명에서 329만명으로 20%가량 상승했다.

배달 앱 이외에는 소셜커머스·오픈마켓(38.1%), 대형마트·편의점(37.5%) 등 쇼핑 앱의 이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쿠팡(소셜커머스), 11번가(오픈마켓), 홈&쇼핑(홈쇼핑), 이마트몰(마트) 등 쇼핑 앱 이용자 수는 1월 넷째 주 이후 10~20%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대로 둔화된 3월 셋째 주부터는 이용자 수가 조금씩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NICE디앤알 윤선영 실장은 <시사위크>의 통화에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는 기간 동안에 급격히 앱 사용량이 증가한 것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언택트 소비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 확실해 보인다”며 “다만 최근 확진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앱 사용량은 향후 기존 통계치 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