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들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지난 15일 밤 서울 여의도 당사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출구조사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뉴시스
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들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지난 15일 밤 서울 여의도 당사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출구조사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정의당이 이번 선거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얻으며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자충수로 작용했지만, 여전히 지역구에서 한계를 보이며 이를 돌파할 방법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4‧15 총선 이후 정의당이 받아 든 성적표는 총 6석이다. 그마저도 9.67%의 정당득표율을 얻으며 비례대표 의석을 5석 포함한 숫자다. 지역구에서는 오로지 심상정 정의당 대표 혼자만 당선됐다. 당 안팎에서 정의당의 ‘인물난’이 지적되는 이유다.

정의당은 지난 2016년 총선에서 고(故) 노회찬 전 의원이 창원 성산에서, 심 대표는 고양갑에서 각각 당선됐다. 고(故) 노 전 의원이나 심 대표 모두 정의당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인물들이었다.

하지만 고(故) 노 전 의원 서거 이후 정의당은 뒤를 이을만한 인물을 내세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故) 노 전 의원 지역구인 창원 성산 보궐선거에서 당선됐던 여영국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강기윤 미래통합당 당선인에게 자리를 내줬다.

다른 지역구 후보들도 마찬가지다. 기대를 모았던 이정미 의원은 인천 연수을에서 18.3%를 얻었고, 추혜선 의원은 안양동안을에서 3.2% 득표율에 머물렀다. 아울러 목포에 출마했던 윤소하 의원 역시 11.8%에 머물렀다. 

이번 총선을 대비해 3년간 지역구를 닦았던 현역 의원들이지만 사실상 제대로 힘을 쓰지 못했다. 아울러 다른 후보들 역시 대부분 5% 내외의 득표율을 얻는데 그쳤다.

전문가는 진보정당이라는 태생적 한계가 정의당의 지역구 한계를 가져온다고 평가했다. 거대 양당 체제에서 진보정당인 정의당이 설 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우리나라 같은 양당 체제에서 이념정당인 정의당이 지역구에서 승리를 거두기는 굉장히 어렵다”며 “틈새를 공략해야 함에도 스윙보터를 겨냥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더욱 어려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렇다 보니 정의당은 그동안 더불어민주당과의 단일화를 통해 지역구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을 택해왔다. 이번 선거 역시 인천 연수을과 창원 성산 등 지역에서 단일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하지만 ‘단일화 효과’를 얻지 못한 채, 지역구에서 단 한 석에 그치면서 정의당의 ‘한계’가 명백히 드러났다.

이에 정의당은 진보정당으로서 가치를 창출하면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정의당만의 목소리를 내는 점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황 평론가는 “지난 조국 사태 때 분명한 입장을 취했다면 이런 몰락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심 대표가 두고두고 후회하고 자성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정의당 내에서 ‘조국 사태’를 두고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던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앞서 선거를 앞두고 정의당의 청년 후보들 역시 조국 사태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한 것을 반성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성완 정치평론가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진보정당은 자기 가치를 이야기하지 않으면 존립의 의미가 없다”며 “과거 무상급식, 무상보육처럼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해야 하는 데 정의당이 한동안은 그 역할을 못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황이 좋지 않음에도 10% 가까운 정당 득표율을 얻었다는 것은 그만큼의 지지층은 항상 있다는 것”이라며 “사회적 가치, 진보적 가치를 꾸준히 만들어 낸다면 지역구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독자생존 기반이 충분하다는 가능성을 확인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