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정책 간담회 및 산업·기업 대응반 1차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정책 간담회 및 산업·기업 대응반 1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범찬희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산업‧경제 질서에 걸 맞는 산업전략을 수립하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재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비경중대본)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장관과 농식품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12곳, 산‧학‧연 전문가 등이 참석한 이날 회의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대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전략을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성 장관은 코로나19 이후를 5대 변화로 진단하고 8대 대응과제 및 추진계획을 제시했다. 성 장관은 보건환경 분야에서 바이러스와의 전쟁 본격화이 본격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경제활동면에서는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고,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기업경영 퇴조가 본격화 될 것으로 진단했다. 이어 그는 연대, 공정, 책임 등의 사회가치가 부각되고, 정부 역할이 커지면서 신자유주의 퇴조가 가속화 될 수 있다고 봤다.

이 같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8대 산업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유턴 활성화, 핵심품목 관리, 밸류체인 핵심기업 유치 등을 통해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제품 생산기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발생에도 산업 현장 생산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복원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산업의 지능화’ 지원도 이루어진다. 또 K-방역과 K-바이오가 K팝에 이은 신한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상품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백신 위탁생산시설인 미생물실증지원센터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등을활용해 글로벌 백신 생산의 중심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비대면 산업 육성에도 힘쓴다. 5G통신, 디지털인프라,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유통·교육 등 비대면 산업을 선점할 계획이다. 저유가 기조를 산업구조 혁신과 에너지 전환의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또한 현장의 투자애로를 직접 점검하고 주력산업의 과감한 사업재편을 촉진한다. 대기업 및 중소·중견기업 협력을 통한 업종·기업간 한국형 산업 연대와 상생협력 모범사례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 아울러 보호무역 타파와 자유로운 인적·물적 교류에 힘쓴다.

성 장관은 “코로나19 이후 세상의 변화에 대한 비전과 담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우리의 산업 전략에 대해 건설적 토론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며 “오늘 1차 회의와 포스트 코로나 관련 전문가 토론을 바탕으로 정부의 계획을 좀 더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