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가 지난 9일 오후 대구 중구 삼덕동 경북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부친상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주호영 원내대표의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뉴시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가 지난 9일 오후 대구 중구 삼덕동 경북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부친상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주호영 원내대표의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호영 기자  12일 여야가 20대 마지막 임시국회를 다음주 소집하기로 합의하면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와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13일 국회에서 회동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두 원내대표는 본회의 일정과 안건을 확정하고 21대 원구성 등 현안을 놓고 본격적인 힘겨루기를 벌일 전망이다.

김영진 민주당 원내총괄수석부대표와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의사 일정에 잠정 합의했다. 세부 일정 등은 내일 오후 예정된 두 원내대표의 회동에서 결정된다. 부친상으로 지난 9일부터 국회를 비웠던 주 원내대표는 이날 발인을 마쳤고, 내일부터 즉각 당무에 복귀해 공식 일정을 소화한다.

두 원내대표의 회동에서는 의사일정뿐 아니라 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합당 문제, 법제사법위원회 등 주요 상임위 배정과 관련한 치열한 협상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과 한국당의 합당 문제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이미 선전포고를 한 바 있다. 그는 정치권 일각에서 한국당이 합당을 미루고 별도 원내 교섭단체 구성 가능성이 제기된 데 대해 “막장 정치"라며 강력 비판했다. 총선에서 비례의석 19석을 확보한 한국당은 1석만 추가하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미 선거 기간 중에 여러 차례 통합당과 한국당이 선거 직후 합당하겠다고 국민들께 약속하지 않았나”라며 “(합당하지 않으면) 민의를 정면으로 배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한국당이) 제2의 교섭단체를 만든다면, 표현이 어떨지 모르겠는데 막장정치”라며 “그런 정치, 국민이 허락하지 않는 그런 정치를 우리가 인정하긴 어렵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원유철 한국당 대표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를 전제로 더불어시민당·한국당을 포함한 이른바 ‘2+2 회동’을 제안한 데 대해 김 원내대표는 “우리가 인정하지 않는데 무슨 4자 회동을 하느냐”며 “핑계를 대도 그럴싸한 핑계를 대야 한다"고 비판했다.

실제 원 대표는 “통합당과 반드시 합당하겠다”고 거듭 말하고 있지만 합당 절차나 시기에 대해서는 특정하지 않고 있다.

원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구성원인 현역 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의 총의를 모으는 것도 중요하다”며 구성원 의견에 따라 독자노선을 걸을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

21대 국회에서 별도 교섭단체를 구성한 한국당을 인정할 수 없다는 민주당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와 2+2 회동 등 여당이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제안을 요구하고 나선 한국당이 벌써부터 짙은 파열음을 내는 모습이다. 민주당의 경우 일찌감치 권리당원 투표를 통해 비례정당인 시민당과 합당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주 원내대표가 지난 8일 선출 직후 “한국당과의 합당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발언한 만큼 합당 절차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 주 원내대표는 비례정당 합당 문제로 여야가 21대 개원 전 극심한 대립각을 세울 경우, 통합당이 여론의 지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총선에서 압승한 민주당이 원내 과반을 훌쩍 상회하는 177석의 거대 의석을 점유한 만큼 원 구성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것도 주 원내대표의 고민을 깊어지게 하는 부분이다.

통합당은 이번 총선에서 84석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한국당 비례 의석 19석을 합쳐도 103석으로 개헌 저지선을 간신히 넘겼다.

김 원내대표는 이를 감안한 듯 원 구성 협상과정에서 통합당이 여야 의석대로 상임위를 배분했던 관행을 이용해 지연전략을 펼친다면 원 구성 방안을 표결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통합당은 민주당 견제를 위해 법사위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관례상 법사위원장은 야당 몫으로 배분돼왔다. 다만 김 원내대표는 타 정당의 법안 처리를 지체하는 용도로 악용되기도 하는 법사위의 체계·자구 심사권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법사위 체계·자구 심사권 폐지는 민주당의 총선 공약이기도 했다. 해당 권한은 법사위가 상임위 통과 법률안이 본회의에 올라가기 전 위헌 여부 등을 심사해 사실상 국회의 상원 역할을 하고 있다. 심사권 존치 입장인 통합당과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