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환한 미소를 짓고 있다. /뉴시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환한 미소를 짓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정기 전국대의원대회(전당대회)가 8월에 열리게 되면서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는 이낙연 전 총리(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장)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지난 11일 최고위원회를 통해 8월 전당대회를 공식화했다. 이 대표가 시스템 정당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예측 가능한 당 운영을 강조한 것이다. 예정대로 전당대회가 진행되면서 최근 일각에서 제기됐던 ‘이낙연 추대론’은 힘을 잃고 있다. 

그럼에도 이 전 총리가 당 대표에 도전해야 한다는 의견은 여전히 나오고 있다. 차기 대권주자 호감도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당내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당권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당권을 잡아 기반을 다진 후 대권에 도전해 대통령이 된 만큼, 이 전 총리가 ‘문재인 모델’의 전철을 밟아 당 대표로 확실한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는 의미기도 하다.

하지만 이 전 총리가 당권을 잡은 후 대권을 도전할 의사가 있다면 6개월 만에 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 민주당의 당권·대권 분리 규정에 따르면, 당 대표가 대권에 도전하려면 대선 1년 전에 사퇴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민주당 당헌에는 ‘당 대표가 궐위된 때에는 궐위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임시전국대의원대회를 개최해 당 대표를 선출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렇게 되면 원내대표를 제외한 모든 당 지도부가 교체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대선이라는 과제를 1년 앞둔 상황에서 지도부가 교체되는 것은 당무의 연속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8월 전당대회를 치른 후 1년도 안 지나서 재차 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은 문 대통령이 대표 시절부터 강조한 ‘시스템 정당’과도 거리가 멀다는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이 전 총리가 당권 도전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계속 나오고 있다. 동교동계 출신 정치원로인 정대철 전 민주당 대표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 전 총리가 대통령 후보가 되려면 그를 적극 지지하는 소속 의원이 5~10명은 돼야 한다”며 “(당대표를) 단 6개월, 7개월을 하는 한이 있더라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 전 총리가 대선가도로 바로 직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당대회를 치르는 과정에서 유력 대권주자가 불필요한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당내 기반이 약한 이 전 총리가 전당대회에서 낙마할 경우 대선가도에도 ‘빨간불’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제기됐던 추대론과 더불어 ‘용광로 비대위’ 주장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총선에서 승리한 상황에서 비대위를 세우는 것은 상황에 맞지 않고, 특정 주자를 추대하는 것은 당권주자의 반발을 살 수 있어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당 지도부가 8월 전당대회를 결정하면서 이 전 총리는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 전 총리는 13일 전당대회 출마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여러 가지 의견을 듣고 있다”며 “적절한 시기에 (결정을) 하지 않겠느냐”고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