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반도’(감독 연상호)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NEW
영화 ‘반도’(감독 연상호)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NEW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천만 영화 ‘부산행’(2016, 감독 연상호)의 세계관을 잇는 작품으로 기대를 모았던 영화 ‘반도’(감독 연상호)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더 커진 스케일과 압도적인 비주얼, 짜릿한 액션 쾌감을 앞세워 여름 극장가 접수에 나선다. 다시 한 번 ‘K-좀비’ 열풍을 몰고 올 수 있을까.

전대미문의 재난 그 후 4년, 폐허의 땅으로 다시 들어간다!

4년 전, 나라 전체를 휩쓸어버린 전대미문의 재난 상황에서 가까스로 탈출했던 정석(강동원 분)은 바깥세상으로부터 철저히 고립된 반도에 다시 들어가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제안을 받게 된다.

제한 시간 내에 지정된 트럭을 확보해 반도를 빠져나와야 하는 미션을 수행하던 중 인간성을 상실한 631부대와 4년 전보다 더욱 거세진 대규모 좀비 무리가 정석 일행을 습격한다. 절체절명의 순간, 폐허가 된 땅에서 살아남은 민정(이정현 분) 가족의 도움으로 위기를 가까스로 모면하고, 이들과 함께 반도를 탈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잡기로 한다.

타격감 넘치는 액션은 ‘반도’의 가장 큰 볼거리다. /NEW
타격감 넘치는 액션은 ‘반도’의 가장 큰 볼거리다. /NEW

‘반도’는 ‘부산행’ 그 후 4년, 폐허가 된 땅에 남겨진 자들이 벌이는 최후의 사투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다. 연상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한국영화 사상 처음으로 인류의 멸망 이후를 다루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담았다.

‘반도’는 ‘부산행’과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지만, 전혀 다른 이야기의 영화다. 가장 큰 차이는 ‘좀비’보다 ‘사람’에 초점을 맞춘 점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폐허가 된 반도로 되돌아온 자와 그곳에서 들개처럼 살아남은 자, 그리고 들개 사냥꾼을 자처하며 좀비보다 더 위협적인 존재가 돼버린 미쳐버린 자들까지, 이성이 무너지고 야만성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남은 다양한 인간 군상의 모습을 보여주며 흥미를 자극한다.

캐릭터 활용법도 눈길을 끈다. ‘부산행’에서 어린아이와 임산부, 노인 등을 보호해야 하는 대상이나 약자로 그렸던 것과 달리 ‘반도’에서는 성별, 나이를 뛰어넘어 각자의 방식으로 좀비와 싸워 나가는 주체적인 인물로 활용한다. 특히 영화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카체이싱 액션도 어린 여자아이 준이(이레 분)와 여성 캐릭터 민정의 몫이다.

캐릭터 활용이 돋보인 ‘반도’. 카체이싱 액션을 소화한 이정현(왼쪽)과 이레(오른쪽 위). /NEW
캐릭터 활용이 돋보인 ‘반도’. 카체이싱 액션을 소화한 이정현(왼쪽)과 이레(오른쪽 위). /NEW

속도감과 타격감 넘치는 액션은 ‘반도’의 가장 큰 볼거리다. 닫힌 기차 안에서 넓은 도심으로 배경이 확장된 만큼 액션 역시 더 다채로워졌고, 스케일도 커졌다. 4년이라는 시간 동안 살아남은 생존자들은 좀비의 특성을 파악해 이를 이용해 좀비와 정면으로 맞선다. 빛과 소리에 민감한 좀비들을 화려한 조명의 RC카와 연막탄으로 유인하고, 달려드는 좀비를 향해 거침없이 총을 겨누고 돌파하는 등 압도적인 생존 액션이 펼쳐져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특히 광활한 도시에서 펼쳐지는 대규모 카체이싱 액션 장면은 압도적이다. 더 빨라진 좀비들을 피해 ‘반도’ 생존자들은 자동차를 적극 활용한다. 거리 위로 쏟아져 나오는 좀비 떼를 가차 없이 들이 박으며 거침없이 질주하는데,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약 20분간 이어지는 이 카체이싱 장면은 코로나19로 막혀버린 속을 뻥 뚫어주는 듯한 통쾌함을 선사하며 장르적 쾌감을 극대화한다.

남다른 존재감을 뽐낸 구교환. /NEW
남다른 존재감을 뽐낸 구교환. /NEW

강동원부터 이정현‧권해효‧김민재‧김도윤‧이레‧이예원까지 수많은 배우들의 열연 속 유독 빛나는 건 구교환이다. 겉과 속이 다른 631부대 지휘관 서 대위로 분한 그는 희망을 잃고 무너져내린 인물의 나약함과 잔인함을 뻔하지 않게 담아냈다. 상대적으로 적은 분량임에도 매 장면 다른 얼굴을 보여주며 등장하는 모든 순간 눈을 뗄 수 없게 만든다.  

다만 ‘부산행’을 뛰어넘는 재미는 없다. 공간의 확장은 긴장감을 떨어뜨리고, 4년 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좀비들은 신선함을 주지 못한다. 예상 가능한 대로 흘러가는 전개로 지루한 느낌을 주기도 하고, 지나치게 짙어진 신파 요소는 몰입을 방해한다.

다소 오글거리는 듯한 결말도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다. 이에 대해 연상호 감독은 “‘부산행’과 다른 엔딩으로 가고 싶었고, 조금 더 희망적이길 바랐다”며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희망을 느꼈으면 하는 마음이 반영됐다. 어디에 있느냐보다 누구와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반도’는 분명 장점이 많은 작품이다. 그럼에도 아쉬움이 남는 건 ‘부산행’이 너무나 ‘잘 만든’ 좀비물이자 재난물이자, 오락영화였기 때문이 아닐까. 러닝타임 116분, 오는 15일 개봉.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