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대책으로 인해 비규제지역으로 떠오른 지방 광역시에서 전매제한 시행을 앞두고 7월 분양 물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부동산대책으로 인해 비규제지역으로 떠오른 지방 광역시에서 전매제한 시행을 앞두고 7월 분양 물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시사위크=서종규 기자  연이은 초강도 부동산 대책에 전국 분양 경기가 얼어붙고 있다. 이 가운데, 이달 지방 5대 광역시의 분양 물량이 크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규제 지역이라는 점과 8월 시행되는 전매제한 이전에 분양하기 위한 공급이 이뤄지며 분양경기가 활기를 띠고 있다는 분석이다.

◇ “규제 전 쏟아내자”… 7월 지방 분양 ‘급증’

17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인천을 제외한 지방 5대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7월 일반분양 물량은 총 1만3,369가구다. 전년 동월 8,120가구 대비 64% 증가했다. 정비사업 단지의 조합원 물량을 포함한 총가구수 또한 2만718가구로, 전년 동월 1만1,450가구 대비 80% 급증했다. 최근 5년간 7월 분양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7년 대비 일반 분양은 7배 이상, 총가구수는 9배 이상 많은 물량이다.

6.17 부동산대책과 7.10 부동산대책이 연이어 발표되며 전국 분양 경기가 얼어붙고 있는 모습이지만, 5대 광역시의 경우 이를 비껴간 모습이다.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고, 8월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에 시행되는 분양권 전매제한 이전에 분양을 마무리하기 위함으로 분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7월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전망치는 69.1로 전월 79.6 대비 10.5p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이은 부동산대책으로 인해 사업추진 여건이 악화될 것이라는 인식이 반영됐다는 게 연구원 측 설명이다.

전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의 7월 HSSI 전망치는 전월 대비 30.3p 급락한 79.2로 나타났고, 6.17 부동산대책으로 옹진군을 제외한 전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인천 또한 전월 대비 15.5p 하락한 7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지방의 경우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수도권에 비해 HSSI의 하락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5대 광역시를 포함한 지방의 7월 HSSI 전망치는 전월 대비 8.5p 하락한 67.3으로 집계됐다.

올해 5대 광역시에서의 7월 분양 물량이 최근 5년치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서종규 기자
올해 5대 광역시에서의 7월 분양 물량이 최근 5년치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서종규 기자

부동산대책으로 인한 분양경기 하락은 지방 광역시에서도 나타났다. 지방 광역시 중 대전은 6.17 부동산대책으로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른 여파로 대전의 7월 HSSI 전망치는 전월 대비 19.3p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7월 분양 물량 또한 없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6.17 부동산대책으로 규제지역이 대폭 늘어 대출 요건이 까다로워진 가운데,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규제지역 내 공급 물량에 대해 건설사들이 분양 시점을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8월 전매제한 규제가 시행되기 전 분양을 서둘러 마치려는 추세 또한 분양 물량의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 5월 분양권 전매제한을 담은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다. 시행령에 따르면 수도권과 광역시 등 지역에서 8월부터 분양권 전매 제한 기간이 현행 6개월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 시점까지로 강화된다. 시행령은 오는 8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전매제한 확대 시행으로 지방광역시 분양시장은 가수요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며 “청약자들은 규제 전 청약을 받고, 건설사들은 분양을 일찍 마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공급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