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에서 또 다시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뉴시스
현대중공업에서 또 다시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현대중공업의 안전불감증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올해 잇단 사망사고로 대대적인 안전 종합대책을 마련했지만, 최근 또 다시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이다. 사고와 대책마련의 무의미한 반복이 거듭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살인법’ 제정 등 근본적인 처벌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올해만 5명 사망한 현대중공업, 또 추락 사고

현대중공업에서 또 다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 13일. 작업용 발판 구조물 해체 작업을 하던 러시아 국적의 30대 근로자가 7m 아래로 추락해 크게 다쳤다.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는 해당 근로자는 현재 위중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형인 추락 사고는 안전그물망 등 기본적인 장치만 있어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도 이 같은 안전장치는 전혀 없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 15일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안전불감증을 규탄하는 한편, 관계 당국의 강도 높은 처벌 및 감독을 촉구했다. 노조는 “안전 그물망 미설치, 작업장 내 조명 불량, 개구부 접근금지 표시 위반 등으로 벌어진 사고”라며 “외국인 노동자가 절반 가까이 있는데 작업팀에 안전교육이 제대로 진행됐는지도 확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현대중공업은 또 다시 안전불감증 관련 논란으로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현대중공업에선 올해만 5명의 근로자가 사망했다. 특히 지난 4월엔 불과 일주일 사이에 두 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현대중공업은 지난 6월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으며, ‘신(新) 안전문화 선포식’을 통해 경영 최우선 가치를 안전으로 삼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일성이 무색하게 또 다시 가장 기본적인 유형의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현대중공업의 안전불감증이 무의미한 반복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사고가 발생하면 대대적인 대책을 마련하지만, 이내 또 사고가 발생하는 ‘도돌이표’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비슷한 유형의 기본적인 안전사고가 거듭되고 있는 점은 현대중공업의 대책에 커다란 물음표를 붙게 한다. 이번 사고는 지난 2월 발생한 추락 사망사고와 흡사한 점이 많다. 당시에도 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그물망 등의 장치는 없었다. 또한 지난 4월, 일주일 사이에 벌어진 2건의 사망사고 역시 모두 끼임사고였다. 

현대중공업의 대대적인 안전대책 마련 및 선언 또한 새롭지 않다. 현대중공업은 4년 전인 2016년에도 일주일 새 3명이 사망하는 등 한해에만 11명이 사망한 바 있다. 당시 현대중공업은 대표이사 직속 안전경영실을 신설하는 등 대대적인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사고는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현대중공업의 모습에 ‘기업살인법’ 제정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노동·시민사회계에서 줄곧 요구하고 있는 ‘기업살인법’은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에 대해 사업주 및 경영진을 강하게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대재해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이 안전사고 반복의 한 축이라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현대중공업 노조 역시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고용노동부가 불법하청 고용구조를 엄단하고 산업안전보건법을 명백히 위반한 사업주를 구속수사 해야 하며, 회사 경영진의 안전 불감증이 사라질 때까지 상시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