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국립대 교직원은 141명으로 확인됐다. 특히 ‘윤창호법’ 시행 이후에도 36건이 적발됐다./게티이미지뱅크
최근 5년간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국립대 교직원은 141명으로 확인됐다. 특히 ‘윤창호법’ 시행 이후에도 36건이 적발됐다./게티이미지뱅크

시사위크=김희원 기자  음주운전 처벌을 강화한 일명 ‘윤창호법’ 시행(2018.12.19) 이후에도 국립대 교직원들의 음주운전이 끊이지 않았으며 그 중 서울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각 국립대학으로부터 제출 받은 교직원 범죄 수사 개시 통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국립대 교직원은 141명이며, 이중 36건(25.5%)은 ‘윤창호법’ 시행 이후 적발됐다.

서 의원은 “지난 5년간 수사기관으로부터 통보 받은 교직원 범죄 수사 개시 1,122건 가운데 12.6%인 141건이 도로교통법위반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음주운전이며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 방조, 음주 및 무면허운전, 음주 및 난폭운전, 음주 및 치상, 숙취운전 등이 포함됐다.

연도별로는 지난 2016년 46건 이후 2017년 30건, 2018년 29건으로 음주운전 적발이 줄어들었으나 2018년 12월 19일 시행된 ‘윤창호법’ 이후부터 현재까지 총 36건이 적발됐다. 

최근 5년간 국립대학별 음주운전 적발 현황/서동용 민주당 의원실 제공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공한 최근 5년간 국립대학별 음주운전 적발 현황에 따르면 서울대가 적발 건수가 가장 많았다./서동용 의원실 제공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18건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전북대 13건, 경북대와 경상대가 11건, 충북대와 한국교원대가 9건, 강원대와 제주대가 8건 등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음주운전 법적 처벌 기준은 강화됐지만 대학 내부의 징계 조치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교육공무원 징계양정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음주운전의 징계 기준은 가장 낮은 징계 처리 기준이 감봉이다. 최초 음주운전을 한 경우 혈중알코올농도가 0.08퍼센트 미만의 경우 정직 또는 감봉 처리를 할 수 있으며 그 외 모든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 기준은 정직 이상으로 중징계를 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서동용 의원실에 따르면, 그동안 음주운전을 저지른 국립대 교직원의 83%, 117명에 대한 실제 징계 처분은 감봉과 견책 등 경징계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까지 아무런 징계 조치를 하지 않은 미조치도 16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대의 경우 2011년 법인화 이후 별도의 교직원 징계규정을 두지 않고 사립학교법을 준용해 적용해오다 2019년에 서울대교원징계규정을 제정했다.

이와 관련 서 의원은 “이 기준 자체가 국립대 교직원이 적용 받은 공무원 징계령에 비해 한참 못 미친다”며 “최초 음주운전을 한 경우 공무원과 국립대 교직원은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강등-정직-감봉을 하도록 돼 있는데, 서울대 교직원은 이와 관계없이 무조건 감봉과 견책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견책은 시말서를 쓰는 정도로 징계 중에 가장 처벌 수위가 낮아 사실상 징계라고 보기도 어렵다”며 “또한 음주운전으로 사망사고를 일으킨 경우 공무원은 공무원 신분을 상실하는 파면 또는 해임의 중징계를 하는데 반해, 서울대 교직원의 경우 해임에서 정직에 그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 측에 따르면 음주운전을 한 서울대 교직원에 대해 학교에서 내린 징계 조치는 감봉 4명, 견책 10명, 경고 4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 의원은 “음주운전 범죄자에 대한 징계가 견책, 경고 처분 그치고 있는 대학가의 제식구 감싸기도 문제지만, 일부 교원의 경우 음주운전 수사 시 신분을 제대로 밝히지 않아 학교가 뒤늦게 알고 징계 처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자진신고제와 같은 제도적 보완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음주운전의 기준과 처벌을 강화하며 음주운전을 뿌리 뽑기 위한 우리사회의 치열한 노력에 비해 대학 구성원의 경각심은 바닥 수준”이라며 “음주운전 적발 비율이 높은 주요 대학들부터 책임 있는 자세로 음주운전을 완전히 근절하기 위한 대책과 자정 노력을 약속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