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4명 모두 갈등의 중심에 서는 '수난'을 겪었다. 사진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조국, 김조원, 신현수, 김종호 민정수석의 모습. /뉴시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4명 모두 갈등의 중심에 서는 '수난'을 겪었다. 사진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조국, 김조원, 신현수, 김종호 민정수석의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바람 잘 날이 없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이 모두 예외 없이 갈등의 중심에 섰기 때문에 나오는 말이다.

청와대 민정수석은 통상적으로 국민여론과 민심파악, 법률보좌, 공직사회 기강 확립, 인사검증, 사정기관 총괄, 대통령 측근 및 친인척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정권의 부담이 될 일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의 전·현직 민정수석 4명은 국정부담을 키웠다는 비판을 받는다. 

◇ 4년간 4명의 민정수석 모두 ‘구설수’

문재인 정부의 초대 민정수석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었다. 그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와 검경 수사권 조정 등을 주도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 상징 인물로 꼽혔다. 그러나 그가 이슈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은 민정수석직을 내려놓고 법무부 장관에 내정되면서다. 

조 전 장관 일가 논란은 문 대통령 국정지지도 추락의 원인이 됐고, ‘조국 사태’에 대응하느라 개혁과제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현재까지 이어지는 검찰개혁의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조 전 장관의 후임으로는 감사원 출신 김조원 민정수석이 발탁됐다. 그러다보니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에서 약간 비켜나 있었다. 그래서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정작 그는 다른 이슈의 중심에 서게 됐다. 바로 ‘청와대 참모 1주택 보유’ 문제다. 노영민 당시 대통령비서실장이 청와대 참모에게 1주택을 보유하도록 권유했으나, 김 수석은 서울 강남 아파트 2채를 유지해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김조원 수석은 교체됐고, 같은 감사원 출신인 김종호 민정수석이 부임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임명됐던 김종호 수석은 넉 달 만에 자리를 떠나게 됐다. 추 전 장관이 윤 총장의 징계를 추진했음에도 법원에서 제동이 걸리는 등 혼선을 빚자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사표를 낸 것이다. 

문 대통령은 ‘추-윤 갈등’에 유감을 표하며, 처음으로 검찰 출신인 신현수 민정수석을 발탁해 검찰과의 조율을 모색했다. 신 수석은 검찰과 여권의 중재자 역할을 하려 노력했으나, 이번 검찰 인사를 계기로 사의를 표하게 됐다.

18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반려에도 신 수석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신 수석은 이날 이틀간의 휴가원을 제출하고 자신의 거취에 대한 숙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그가 사의를 고집할 경우 문 대통령은 다섯 번째 민정수석을 찾아야 한다. 게다가 이번 인사를 두고 정치권에서 ‘문 대통령이 여당의 손을 들어줬다’, ‘검찰과의 조율 실패’ 등 추측이 난무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국정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